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090.jpg
KCI등재 학술저널

손자녀 양육 조모의 소진회복과정

The Process of Burnout and Burnout Recovery among Korean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 501

본 연구는 손자녀 양육 중인 여성 노인들의 소진과 회복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조부모 대상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참석자들 중 현재 2년 이상 손자녀 양육을 하고 있는 58세 이상의 조모 8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고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59개의 개념과 39개 하위범주, 23개의 상위범주가 나타났고, 손자녀 양육 조모들의 소진-회복 과정을 보여주는 이론모형이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은 소진으로 ‘소진이 심해 손주 양육 불가’를 경험했고, 소진에서 회복하는 과정은 ‘체력 소진’, ‘손주가 주는 기쁨과 개인적 노력’, ‘지원과 회복’, ‘통합성 경험’의 4단계로 나타났다. 시간 지나거나 손자녀 숫자가 증가는 손자녀 양육환경 변화에 의해 소진이 다시 발생하는 순환적 과정으로 나타났다. 회복과 수용단계에서 가족의 지지경험과 조부모 교육이 통합성 경험으로 이어진 경우 재소진 단계에서 보다 빠르게 벗어날 수 있었다. 손주 육아 조부모의 소진을 예방하고 회복을 촉진할 맞춤형 교육서비스와 육아 조부모 전담 상담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urnout-recovery process of Korean grandmother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With the results of MBI,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8 grandmothers who experienced burnout and recovery in caring grandchildren.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159 themes, 39 subcategories, and 23 categories were derived.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burnout as a caregiver” as a central phenomenon and the model showed 4 stages, including ‘limits of health’, ‘the happiness experiences that grandchildren gave and personal efforts’, ‘supports and recovery,’ and ‘integration and growth.’ Th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he ‘integration and growth’ stage could return to the ‘limits of health’ stage again according the conditions of caring grandchildren. There needs professional counseling-educational care programs and continuous supports to prevent the burnout and promote the recovery of the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분석

Ⅴ. 논 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