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095.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적정보 기반의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한 그린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 핵심지역 도출

Assessing Significant Areas for Green Infrastructure Network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based on Cadastral Data

  • 188

본 연구는 지적정보를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에 적용하여 네트워크 개념의 그린인프라스트럭처 핵심지역 도출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린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의 구성요소는 ‘핵심 녹지지역’과 ‘연결지역’으로 구분되며,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토지이용현황 정보만을 이용한 구성요소 분석을 진행하여 네트워크의 정량적 분석방법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수치적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지적정보 기반의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사회연결망 분석 수식을 해당 연구에 적합하도록 개선하여 네트워크 결집력을 나타내는 ‘핵심 녹지지역 간 관계수치’ 수식을 도출하였다. 수식에서 산출된 결과는 연결정도 가중치 분석에 적용되어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핵심 녹지지역’의 중요도 분석에 활용되었다. 그 결과 서울시 그린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를 위한 상위 5개 ‘핵심 녹지지역’은 강북지역에 위치하며, 다음으로 강남지역의 5개 ‘핵심 녹지지역’이 중요지역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미래 시나리오에 따른 효율적인 ‘핵심 녹지지역’과 ‘연결지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핵심 데이터로 활용된 지적정보는 환경 분야의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제시하고, 지적정보의 중요성 및 활용성을 제안한다.

This study suggests methods to extract significant areas of green infrastructure networks using methods from social network analysis based on cadastral data. A green infrastructure network is classified into ‘hubs’ and ‘links.’ Although many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land uses to establish green infrastructure networks, this study suggests quantitative methods for green infrastructure network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e formula to calculate values in the relation between hubs in green infrastructure networks was developed and suggests importance of hubs with applying to a method of weighted degree in 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five hubs in Gangbuk has the higher values of importance in comparison with hubs in Gangnam that also contains five hubs within ten hubs that have higher values in 20 hubs for green infrastructure networks in Seoul. This study also suggests hubs and links based on variable scenarios to establish networks.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this study is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to geospatial data based on cadastral data. This study suggests importance of cadastral data to analyze environmental issues with different methodologies in comparison with prior studies.

1. 서 론

2. 사회연결망 분석

3. 분석방법

4. 서울시 그린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 핵심지역 추출

5.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