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환경이 노년기 보행기능제한, 장애 및 우울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the home environment on the relationship among walking limitation, disability and depression of older people
- 구본미(Bon Mi Koo) 임은정(Yenjung Lim) 채철균(Choul Gyun Chai)
- 한국노년학회
- 한국노년학
- 제40권 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6
- 543 - 563 (21 pages)
사람들은 노화가 진행되고 신체기능이 저하될수록 집 안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주택환경의 영향을 더 많이받게 된다. 그동안 주택환경과 건강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었으나, 신체기능이 저하된 노인의 장애 발생과 우울에 미치는주택환경의 영향을 밝히는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보행기능제한과 장애, 그로 인한 장애와 우울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주택환경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018년 서울시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변수에 결측치가 있는 응답자를 제외한 총 3,027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분석에는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택환경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보행기능제한(OR=1.487, 95% CI: 1.250 - 1.770), IADL장애(OR=1.594, 95% CI: 1.303 - 1.949)와 우울(OR=1.943, 95% CI: 1.553 - 2.430)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택환경은 보행기능제한이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열악한 환경에 거주하며 보행기능제한을경험하는 노인의 IADL장애 수준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주택환경은 보행기능을 통제한 후에도, IADL장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열악한 환경에 거주하는 IADL장애 노인의 우울 수준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노년기 장애와 우울을 예방하고, 자신의 집에 오래 머물러 살 수 있도록 지원하기위한 개입전략으로서 노인의 신체적, 기능적 특성을 반영한 주택환경 개선사업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As people age and their physical functions are declined, they stay longer in the home, thus being more affected by the home environment. Many studies have show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ome environment and health.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the home environment on disability and depression of older people with functional limitation. This study, therefore,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home environment on the pathway between walking limitation and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IADL) disabi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ADL disability and depression. We performed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ith data on 3,027 participants from the 2018 Seoul Aging Survey. As results, first, older people who lived home with poor conditions showed a higher risk of walking limitation(OR=1.487, 95% CI: 1.250 - 1.770), IADL disability(OR=1.594, 95% CI: 1.303 - 1.949), and depression(OR=1.943, 95% CI: 1.553 - 2.430). Second, the home environ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alking limitation and IADL disability. Older people with walking limitation who lived in poor housing condition experienced more IADL disability than others. Third, after controlling for walking limitation, the home environment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ADL disability and depression. Elderly with IADL disability living in poor home experienced higher risk of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home modification intervention targeting functional limitation of older adults as strategy for preventing disability and depression, and enabling aging in place.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