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자녀 양육이 조부모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관적 건강상태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ated Health on the Association between Grandparenting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Grandparents
- 송시영(Si Young Song) 전혜정(Hey Jung Jun) 주수산나(Susanna Joo)
- 한국노년학회
- 한국노년학
- 제40권 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6
- 459 - 475 (17 pages)
본 연구는 손자녀가 있는 조부모를 대상으로 손자녀 양육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이 주관적 건강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의 4차년도(2012년)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었다(N=650). 또한 손자녀 양육에 참여한조부모와 참여하지 않은 조부모의 선택에서 무작위성을 보장하기 위해 Coarsened Exact Matching(CEM) 방법을 적용하여 타당성을높이고자 하였다. 종속 변수는 우울감이며, 독립 변수는 손자녀 양육, 조절 변수는 주관적 건강상태이다. 통제 변수로는 교육 수준, 연령, 가구 소득, 성별, 결혼 상태, 삶의 만족도를 투입하였다. STATA 13.0를 이용하여 CEM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매칭 한 후에 가중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호작용항 해석을 위해 Simple slope analysis와 Region of significance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주관적 건강상태의 조절 효과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주관적 건강이 보통 이상으로 높다고 응답한 조부모의 경우에는 손자녀 양육에참여하는 조부모들이 참여하지 않는 조부모들보다 우울감이 낮았다. 반대로 주관적 건강이 낮다고 응답한 조부모의 경우에는 손자녀양육 참여 여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손자녀 양육을 하는 조부모에게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한고려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self-rated health has on the association between grandparenting and depressive symptoms. The fourth wave (in 2012)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was used for the analyses (N=650). The Coarsened Exact Matching (CEM) method was applied in order to ensure randomness in the selection of grandparents who participated in grandparenting and those who did not. The dependent variable was depressive symptom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grandparenting, and the moderating variable was self-rated health. Control variables were education level, age, household income, gender, marital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After matching data by CEM, weighted multiple regression was applied with STATA 13.0. Also, simple slope analysis and region of significance were performed to interpret the interaction term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rated health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Specifically, for grandparents with high self-rated health, grandparenting was associated with a lower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On the contrary, for grandparents with low self-rated health, there was no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they participated in raising grand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need for consideration of self-rated health for grandparents who participated in grandparenting.
Ⅰ. 문제제기
Ⅱ. 문헌고찰
Ⅲ.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