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177.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라 왕경의 안과 밖

Inside and Outside of the Silla Capital: An Analysis of Urban Spatial Structure Using GIS

DOI : 10.18040/sgs.2020.108.61
  • 1,128

신라 왕경은 주변 지역과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도시체계를 이루고 있었다. 이는 왕성-왕경-왕도-왕기-외연지역이 연계된 대도시권의 공간구조로 이해할 수 있으며, 공간적 범위는 월성으로부터 반경 30km~40km 권역으로 추정된다. 대도시권의 가장 외곽에 위치한 외연지역은 철, 소금, 농업생산물 등을 직접 생산하여 왕경에 공급하는 기능을 하였을 것이다. 왕기는 토기, 기와, 숯 등과 같은 수공업품의 생산을 통제하며 왕경과 경제적 상호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그 권역은 대체로 왕성에서 반경 20km로 상정된다. 왕도는 왕경 도시민의 일상생활권으로, 왕성으로부터 반경 약 5km의 권역에 해당한다. 왕경은 정치·경제·종교의 중심지로서 방리제에 의해 도시구획이 이루어진 권역에 속하며, 왕성으로부터 반경 3km 권역으로 볼 수 있다. 왕성은 도시체계의 최정점에서 대도시권 전체를 통제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왕경을 중심으로 한 대도시권의 형성은 중고기 왕경의 본격적인 개발에서 비롯되었다. 이 시기 왕경 내부의 토지 이용 패턴 변화는 도시 공간구조를 크게 바꾸었다. 6세기 이후 왕경의 개발은 하성평탄지의 개발과 사찰의 건립, 왕경 중심부 선상지의 생활공간 점유와 수장층 고분군의 외곽 이동이라는 변화가 있었다. 이것은 도시 팽창과정에서 사찰 건립과 동시에, 대규모 토목공사를 진행하여 주거지와 농경지를 추가 확보하려는 수창층의 공간 이용전략이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당초 선상지에 조영되었던 매장공간을 산지로 이동한 것도 생활공간의 확보라는 토지이용 전략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해석된다. 이러한 왕경 중심부의 공간구조 변화는 왕실에 의한 도시 경관의 전략적 이용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즉, 수장층은 정치 권력의 확대 전략으로서 각 단위 공간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고려하여 도시의 구조를 재편하였으며, 이는 정치적 경관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중고기 대규모 사찰 건립에서 비롯된 왕경 내부의 공간구조는 사실상 왕궁-사찰간의 새로운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였다. 왕궁과 사찰의 네트워크 중심성을 측정한 결과, 왕궁은 근접중심성뿐만 아니라, 위세중심성,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도 높았다. 이것은 사찰을 매개로 구성된 네트워크 조직 내에서 월성이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하며 상호작용을 통제할 수 있는 공간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공간적 지위는 왕실이 왕경이라는 도시체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기반으로 되었을 것이다.

Silla capital can be understood as a city system that had interdependent relations with the surrounding area, forming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metropolitan area with which the royal palace(王城), capital district(王京), capital(王都), its environs(王畿), umland( 外緣地域) were linked. These metropolitan areas are estimated to have a radius of about 30 to 40 kilometers from the royal palace. The umland, located on the outskirts of the metropolitan area, is believed to have been responsible for producing iron, salt and agricultural products directly and supplying them to the capital. Its environs controlled the production of handcraft goods such as earthenware, roof tiles and charcoal, forming an economic interaction with the capital, which is assumed to have a radius of about 20 kilometers from the royal palace. The capital is the daily life of the city dwellers of the capital district, which covers a radius of about five kilometers from the royal palace. The royal palace belongs to the area where urban zoning was made by the system, and as a political, economic, and religious center, it forms a three-kilometer radius. It played a role in controlling and maintaining the entire metropolitan area at the apex of the urban system. This formation of the Silla capital metropolitan area resulted from the full-fledged development of the capital. Changes in the pattern of land use within the capital during this period greatly changed the city’s spatial structure. Since the 6th century, the Silla capital’s development can be largely explained by the development of the alluvial plains and the construction of temples, the occupation of living space by the alluvial fan in the central part of the capital and the movement of the ancient tomb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space utilization strategy of the loyal court, which is intended to secure additional residential and agricultural land by conducting large-scale civil engineering projects, simultaneously with the construction of temples during the urban expansion process. The fact that the burial space, which was origihttp nally built on the alluvial fan, was moved to the mountain and used as a living space seems to be related to securing such residential space. These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enter of the capital district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strategic use of the landscape by the royal. The spatial structure of a city can be understood as a political landscape in that it i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its social role and function, and the construction of Buddhist temples following the full-scale development of the capital can be explained in this context. The spatial structure inside the capital, which resulted from the construction of such a large-scale temple, effectively formed a new social network between royal palaces and temple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network centrality, the royal palace was high not only closeness centrality, eigenvector centrality and degree centrality, but also betweenness centrality. This shows that within the network organization, the capital had the spatial advantage of exercising power and influence and controlling interaction. This spatial status would have served as an important basis for Silla’s the royal family to form the urban system of the capital.

Ⅰ. 머리말

Ⅱ. 왕경 도시체제의 재구성

Ⅲ. 왕경 내부의 도시 공간구조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