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177.jpg
KCI등재 학술저널

토기와 위신재로 본 부여의 성립과 교류 네트워크

Formation of Buyeo and Buyeo Network Focusing on Pottery and Prestige

  • 282

이 논문에서는 기원전 4세기에서 기원후 4세기까지 길림성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중국 동북지역에서 출토된 고고 자료를 바탕으로 토기기종조합의 분포권역과 위신재 교환범위의 차이를 식별했다. 이를 통해 당시 해당 지역에 존속했다고 여겨지는 부여 정치체의 형성 메커니즘과 교류 네트워크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 토기문화권과 위신재 교환권역의 차이를 확인하고자했던 이유는 첫 번째로 부여와 유사한 연맹왕국 단계에서는 국가 전역에서 통일적인 토기 양식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부여를 지방을 장악해가는 영역화 과정을 통해 국가를 성립한 것이 아니라 ‘공동 정치화 전략’에 의해 성립기부터 각 지역의 독립적 성격이 인정된 상태에서 국가가 성립된 연맹왕국의 형태로 보아, 중앙집권국가와는 달리 중앙의 특정한 토기군이 여타 다른 지역의 토기군을 대체하기 힘들었던 것으로 파악했다. 두 번째로 기원전 4세기까지 길림성 중부 지역은 위신재 교환권역에서 주요 지역이 아니었기 때문에 부여가 성립되는 시기 이 지역의 위신재 교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의미 있다고 판단했다. 고고자료를 토대로 이 지역의 정치체는 고조선이 주도하는 위신재 교환 네트워크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고조선의 위신재 교환 네트워크 붕괴 이후이자 부여 성립기로 추측되는 기원전 3~2세기경이 되면 이 지역을 위주로 발견되는 형태의 이식이나 검이 거리가 떨어진 유적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정세를 토대로 부여 국가체가 태동함에 따라 위신재 교환 네트워크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토기/위신재 기종별 형식분류를 진행하여 총 4기로 획기했으며, 시기별 소지역권을 구별했다. 결론적으로 부여의 대내외 교류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를 통해 부여의 지방자치적 성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여 정치체는 각 소지역권이 형성되고 독자성이 존속하는 상태에서 중거리 집단의 지배계층 간의 정치적 관계로 국가체가 유지되었다. 그리고 문헌사 연구에서 다뤄지는 것과 달리, 이 논문에서는 고고자료상 사출도는 중앙에서 임의적으로 편성된 구역이 아니라 부여 형성 이전에 존재했던 집단공동체 중 큰 규모의 공동체가 이후 교통과 대외관계의 거점지로서 역할을 하며 점차 자원이 집중되자 이후 각 지방의 통치 중심지로까지 역할 했다는 것을 밝혔다.

In this paper, it is crucial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distribution area of prestige and exchange range of the pottery association based on the archaeological data excavated from northeastern China around Giljiang district from 4th century B.C. to 4th century A.D.. Accordintg to thi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uyǒ network and the formation mechanism of Puyǒ political community can be recognized. The type classification of pottery and prestige was carried out and the total number of subregion were distinguished by the time period. Regions of period Ⅰ was classified with two subregions. And during Ⅰ period there was transition from the xidansan culture to the early Iron Age culture. Regions of Ⅱ period includes three subregions, and the culture of mandolin-shaped daggers and the nomadic culture of Xiongnu in Liaoxi region has spread throughout this area. The III period has four subregions, and the similarity of prestige shows that it is the time when Puyǒ politics began to work as a state. Based on the time and space distribution of sites and artifacts, the prestige exchange network was divided into a small region network, a medium-distance and a long network. In conclusion, the study of internal and external exchange networks of Puyǒ enabled us to identify the local self-government of Puyǒ. The Puyǒ political system was maintained as a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ite group and of the middle-range groups. Also, unlike the way these aspects being addressed in the literature history study, in this paper I wanted to show that according to archaeological data, a local government of Puyǒ was a community of collective communities which existed before the formation of the state, acting as a hub for transportation and foreign relations resulting into a center of government after resources were gradually concentrated.

Ⅰ. 머리말

Ⅱ. 위신재와 토기에 대한 이론적 접근

Ⅲ. 위신재와 토기 자료 분석

Ⅳ. 부여의 네트워크 변화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