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나타난 절제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고, 절제 교육 방법을 탐구한 것이다. 절제는 불완전한 인간을 성숙한 인격체로 만드는 과정에서 중요하며 인간이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덕목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절제’는 즐거움과 관련된 중용이고, 신체적인 즐거움과 관련된다. 절제의 범위와 영역은 육체적 즐거움에서 미각과 촉각의 즐거움 이상으로 넘어간다. 그리고 절제의 기준과 변수는 대상, 양, 그리고 시기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절제와 중용은 양립될 수 있으며, 절제를 통해 중용의 덕들이 함양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절제를 함양하는 방법으로 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에 절제 함양을 위해 ‘습관 설계 법칙’ 5단계를 제안해 보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temperance in Aristotle’s Ethica Nicomachea and investigated methods of temperance education. Temperance is important in the process of helping humans develop mature personalities and gaining necessary virtue for humans to live as members of a society. Aristotle’s “temperance” suggests moderation related to pleasure and is associated with physical pleasure. The scope and domain of moderation go beyond the pleasures of taste and touch. The parameters of temperance can be identified as the target, amount, and timing. Further, temperance and moderation can be compatible, and temperance can cultivate the virtues of moderation. Aristotl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abits to cultivate temperance. To foster temperance, this study suggests five steps for law of habit formation.
1. 서론
2.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의 절제
3. 절제 교육의 방법
4.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