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내성률의 증가와 복합내성균의 출현은 응급 현장에서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항생제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심각한 내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항생제 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보다 신중히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 충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소비자를 대상으로 2009년 6월부터 8월까지 항생제 사용실태 및 항생제내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이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교차분석, t-Test, ANOVA 등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는 항생제의 비효과성을 경험적으로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항생제 처방에 대한 무분별한 선호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소비자가 심리적으로 항생제 처방에 의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우리나라 소비자는 항생제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의료전문인의 처방과 설명에 의지할 수밖에 없으나, 의사 및 약사의 설명은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의료 전문인들은 구체적인 설명의무를 다해야 할 것이며, 소비자는 스스로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정보를 요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항생제 오·남용의 소비자 인지도를 소비자의 8대 기본권리 관점에서 분석해 본 결과, 의료전문인의 소홀한 관리 뿐 아니라 소비자의 항생제오·남용에 있어 인식수준이 낮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소비자의 의학접근성의 제한성을 고려하여 의학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의약품의 올바른 사용 캠페인을 효과적으로 실시하여 소비자의 알권리를 보호해야 할 것이다.
In the field of emergency, it threatens that increased antibiotic resistance and the emergence of multi‐antibiotic‐resistant bacteria people’s life. In Korea, the indiscreet use of antibiotics is causing serious antibiotic resistance problems.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risk of antibiotic use and apply antibiotics more carefully.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consumers’ awareness and overall use of antibiotics. This study surveyed the consumers awareness about misuse of antibiotics, 300 returned and usabl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SPSS WIN 10.0 was used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were aware of the ineffectiveness of antibiotics experientially, but their preference for antibiotic prescription was uncertain. This suggests that antibiotic consumers are psychologically dependent on antibiotic prescription. Second, consumer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echnical medical knowledge. Accordingly, they have to rely on medical specialists’ explanat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edical specialists and consumers should be faithful to their roles. That is, medical specialists should carry out their duty to give detailed explanations and consumers should exercise their right actively for their health. Third, consumers’ awareness of antibiotic misuse and abuse was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consumers’ eight basic rights. The results showed not only medical specialists’ careless management but also consumers’ low awareness of antibiotic misuse and abuse. In order to make up for consumers’ limited accessibility to medical knowledge, the following policies are required. First, medical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executed. Second, campaigns for the right use of medicines should be performed effectivel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