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182.jpg
학술저널

초고층 건축물의 소방안전 대책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re Safety in Hyper Skyscraper Buildings

  • 22

본 연구는 재난관리 관련 공무원을 대상으로 재난관리 참여기관간 협력체계 요인(조직화,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 계획, 조정 메커니즘, 협력조직문화)이 재난관리 활동의 효과성에 각각 어떠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재난관리 협력체계 요인과 재난관리 효과성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조직화 요인,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 요인, 계획 요인, 조정 메커니즘 요인, 협력 조직문화 요인이 재난관리 효과성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재난관리 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재난관리 효과성에 조정 메커니즘 요인, 협력 조직문화 요인 순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군, 경찰, 소방공무원들은 각각 재난관리협력체계 요인과 재난관리 효과성간의 영향력에 대해서 어떠한 응답을 보이는지 분석한 결과, 중앙정부 공무원은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 요인과 조정 메커니즘 요인,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은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 요인과 조직화 요인, 군 공무원은 계획 요인과 조정 메커니즘 요인, 경찰 공무원은 계획 요인과 협력 조직문화 요인, 마지막으로 소방 공무원은 협력 조직문화 요인과 조정 메커니즘 요인이 재난관리 효과성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실제로 재난현장에 참여하는 경찰․군․소방공무원들은 협력 조직문화 요인, 조정 메커니즘 요인 및 계획 요인이 재난관리 참여기관간 협력을 위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재난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협력 규정 등 제도적인 정비와 재난관리 참여기관들의 재난정보 공유 등을 통한 원활한 의사소통 및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필요하며, 많은 기관․단체가 참여하는 재난현장에서는 통합된 지휘체계 등 조정메커니즘과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참여 구성원들간에 협력조직문화 조성을 통한 협력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The rapid increase of population and urban concentration, increased use of energy, highly support the pursuit of ease of development and expertise in the digital industry, due to the emergence of industrial society, a new concept of urban concentration caused the disaster led to a variety of symptoms. And densities, multi-functioning and sophistication are becoming due to land use restrictions of the structure, land elevation, extremely high. In this situation, however, there is no specialty related the installation standard of a fire safety facilities and related facilities based on a structure s total area, usage and orrent laws. And government applies the standard ffacgeneral structures to hig-rise buildings. It is not suitable ffacapplication in high-rise buildings then there is limited to md e safety measure. It is required to revise of such law to minimize property damdge and fatalities due to fires in high-rise buildings. And it is required ffacthe establishment of reasonable measures which relate to important things in high-rise building safety such as emergency and erd of a f, fire suppressa f, disaster prevention, et . Thereffae, this study explfaes the high-rise building and analyzes problems of orrent laws and safety manage which relate to high-rise buildings, then proposes measures for improvement of fire safety management plan. This study suggests fire safety measures about high-rise buildings, evacuation safety measure about high-rise buildings, improvement of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and fire prevention facility measures. Also The study analyzes phenomenon appeared when fire occurs in high-rise buildings and proposes improvements of fire safety management ranging from fire facility design to management.

Ⅰ. 서 론

Ⅱ. 초고층 건축물의 이론적 배경

Ⅲ. 초고층 건축물의 소방안전관리 문제점

Ⅳ. 초고층 건축물의 소방안전대책 개선방안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