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182.jpg
학술저널

재난관리 참여기관별 협력요인과 재난관리 효과성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and Cooperative Factors of Agencies in Disaster Management

  • 65

본 연구는 재난관리 관련 공무원을 대상으로 재난관리 참여기관간 협력체계 요인(조직화,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 계획, 조정 메커니즘, 협력조직문화)이 재난관리 활동의 효과성에 각각 어떠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재난관리 협력체계 요인과 재난관리 효과성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조직화 요인,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 요인, 계획 요인, 조정 메커니즘 요인, 협력 조직문화 요인이 재난관리 효과성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재난관리 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재난관리 효과성에 조정 메커니즘 요인, 협력 조직문화 요인 순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군, 경찰, 소방공무원들은 각각 재난관리 협력체계 요인과 재난관리 효과성간의 영향력에 대해서 어떠한 응답을 보이는지 분석한 결과, 중앙정부 공무원은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 요인과 조정 메커니즘 요인,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은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 요인과 조직화 요인, 군 공무원은 계획 요인과 조정 메커니즘 요인, 경찰 공무원은 계획 요인과 협력 조직문화 요인, 마지막으로 소방 공무원은 협력 조직문화 요인과 조정 메커니즘 요인이 재난관리 효과성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실제로 재난현장에 참여하는 경찰․군․소방공무원들은 협력 조직문화 요인, 조정 메커니즘 요인 및 계획 요인이 재난관리 참여기관간 협력을 위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재난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협력 규정 등 제도적인 정비와 재난관리 참여기관들의 재난정보 공유 등을 통한 원활한 의사소통 및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필요하며, 많은 기관․단체가 참여하는 재난현장에서는 통합된 지휘체계 등 조정메커니즘과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참여 구성원들간에 협력조직문화 조성을 통한 협력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By surveying civil servants involved in disaster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d how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activities is affected by factors related to the cooperation system among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planning, coordination mechanism,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In addition, we analyzed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cooperation system and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ength of service, working area, etc.),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With regard to the effect 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disaster management cooperation system and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the factors of cooperation system had cpositive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and civil servants involved in disaster management perceived that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is affected most by coordination mechanism and second most by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is result was different from that of surveying specialists on priority among the factors of disaster management cooperation system, in which the specialists regarded organizatio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as the second most important one. This suggests that field civil servants, who participate in disaster management more directly than specialists who draft and revise laws and regulations at the planning department or a research institute,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oordination mechanism among participating institutions for close cooperation at the sites of disasters.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