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격 어미에는 크게 구조격, 의미격, 특수격, 독립격의 네 범주를 둘 수 있다. 구조격에는 주격, 대격, 속격. 접속격, 부정격의 5개가 있다. 종전의 “부정격”은 격 어미의 미실현형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이는 상대적 부정격이었다. 알타어어 문법 모형을 따라 후치사와 첨사를 세우게 되면 일정한 격 형태로 환원할 수 없는 영 형태의 격 어미를 세우지 않을 수 없다. 종전의 문법에서는 기능에만 치중하여 격 체계를 세웠으나 형성 과정을 고려하면 많은 격 형태가 후치사에 편입될 수 있으며 격 형태는 일음절로 된 형태로 축소시킬 수 있다. 종전의 전통 문법에서 “보조사”로 다루어 오던 일련의 조사류는 원칙적으로 격 어미 뒤에 놓인다. 이를 “격 어미 우선 원칙”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보조사를 조사에서 떼어 내어 “첨사”라는 새로운 범주를 세웠다. 그런데 첨사 가운데는 격 어미 앞에 자리잡는 것이 있다. 단독의 첨사 ‘만’이 그것인데 중세어에는 의존 명사였던 것이 현대로 오면서 첨사로 기능이 바뀐 데 그 까닭이 있다.
The system of nominal case endings in Korean comprises four categories: structural case endings, semantic case endings, special case endings, and independent case endings. The structural case endings comprise five: nominative, accusative, genitive, conjunctive and indefinite cases. The so-called “pucengkyek” (indefinite case) was identified as the unrealized form(s) of other case endings, but this was a relative indefinite case. If, following the Altaic grammatical model, we set up postpositions and particles, we must instead posit a Zero (∅) form which cannot be reduced to or replaced by any one given case form. Previous grammars focused overwhelmingly on function when positing case systems, but if we consider their formation processes, many case forms can be integrated with postpositions, and many can be reduced to mono-syllabic forms. The series of “cosa” particles treated in traditional grammars as “pocosa” (delimiters) are, as a rule, placed after case endings. Let us call this the principle of “Case-markers First”. The present author posits a new category by separating out “pocosa” from “cosa” and calling them “chemsa” instead of “pocosa.” But among these “chemsa,” there is one delimiter which is placed before case forms: the delimiter ‘man’ (only). This is because ‘man’ functioned originally as a bound noun in Middle Korean but changed into a delimiter only later.
1. 들어가기
2. 후치사와 부정격
3. 첨사와 부정격
4. 휘갑
참고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