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188.jpg
KCI등재 학술저널

보존제가 없는 분말 형태의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를 이용한 내경계막의 시각화

Preservative-free Triamcinolone Acetonide-assisted Visualization of the Internal Limiting Membrane

목적: 보존제가 없는 분말 형태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triamcinolone acetonide, TA)와 현탁액 형태 TA의 내경계막의 시각화 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리체절제술 및 내경계막 제거를 시행 받은 61명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TA의 종류로 환자군을 두 군으로 나누고, 유리체 및 내경계막 가시화 정도를 각각 4단계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염료의 유리체강내 주입 횟수, indocyanine green (ICG)의 추가 사용 여부, 내경계막제거술에 걸린 시간 및 수술 전후의 안압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말 형태 TA를 이용한 경우, 유리체 및 내경계막의 가시화 정도가 현탁액 형태 TA를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우수하였다(p<0.01). 염료의 유리체강내 주입 횟수는 분말 형태 TA군에서 평균 2.65회 ± 0.07회, 현탁액 형태 TA군에서 2.37 ± 1.08회로 차이는 없었으나(p=0.06), ICG를 이용한 염색법이 필요한 경우는 각각 6안과 22안으로 차이를 보였고(p<0.01), 내경계막제거술에 걸리는 평균 시간도 각각 185.68 ± 130.02초, 411.15 ± 267.38초로 차이를 보였다(p<0.01). 수술 1개월 후 안압은 각각 12.88 ± 3.10 및 14.41 ± 2.91 mmHg로 차이를 보였다(p=0.03). 결론: 가시화를 위하여 분말 형태 TA를 이용하는 경우 유리체와 내경계막의 시각화가 보다 용이하였고, ICG 사용의 필요성을 줄이고, 내경계막 제거에 걸리는 시간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수술 1개월 후 안압상승도 비교적 적었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and compare the degree of visualization of the vitreous and internal limiting membrane (ILM) during pars plana vitrectomy (PPV) using preservative-free triamcinolone acetonide (PF-TA) or triamcinolone acetonide suspension (TA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61 eyes of 61 patients who underwent 25-gauge PPV and ILM peeling for various macular diseases. We assigned the patients to PF-TA and TAS groups, i.e., according to the type of triamcinolone acetonide used. The degree of visualization of the vitreous and ILM was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categories. The number of dye injections during PPV, need for indocyanine green (ICG), time elapsed before ILM peeling, and intraocular pressure (IOP) before surgery, 1 day and 1 month after surgery were determined. Results: The degree of visualization of the vitreous and ILM was significantly better in the PF-TA group compared with the TAS group. Although the number of dye injections during PPV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PF-TA and TAS groups (2.56 ± 0.07 and 2.37 ± 1.08, respectively, p = 0.06), the need for IC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6 and 22 eyes, respectively, p < 0.01). The time elapsed before ILM peeling was 185.68 ± 130.02 s in the PF-TA group and 411.15 ± 267.38 s in the TAS group (p < 0.01). The IOP was not different before or 1 day after surgery between the PF-TA and TAS groups, bu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1 month after surgery (12.88 ± 3.10 and 14.41 ± 2.91 mmHg, respectively, p = 0.03). Conclusions: Visualization of the vitreous and ILM was better when using PF-TA compared to TAS. PF-TA-assisted PPV could reduce the usage of ICG and was associated with a reduced latency to ILM peeling. Because this was in turn associated with a lower IOP at postoperative 1 month, PF-TA was safer and more effective than TAS.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