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193.jpg
KCI등재 학술저널

Environmental Cooperation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 77

연구목적: 오늘날의 기업은 사회적, 환경적인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뤄야하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고, 기업이 환경적인 이슈를 다루는 방안 중에 하나로 친환경 공급사슬 관리(Green supply chain management)가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상황 하에서 친환경 공급사슬 참여자간의 협력정도가 기업의 인식된 환경성과를 결정하고 이 사이의 관계에 상황적인 요인으로써 조직 문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밝혀내고자 한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는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동기 및 목적에 대해서 설명하고, 2장에서는 기존 문헌의 검토를 통한 이론적인 논의를 토대로 본 논문의 연구 가설을 설정한다. 3장에서는 연구의 자료와 변수의 측정에 대한 내용을 전개한 후에, 4장에서 실증 분석한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5장을 통해서 본 논문의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면서 논문을 끝맺는다. 결과: 2014년 1월에서 5월 사이에 한국과 중국에 위치한 수출입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628개의 관측치를 가지고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공급사슬 참여자간의 협력수준이 높을수록 기업의 인식된 환경성과는 높아졌으며, 이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를 기업의 혁신 지향적인 문화가 강화시킨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는 지금껏 공급사슬 참여자간의 협력과 기업의 환경성과의 관계를 단편적으로 바라보던 시각에서 더 나아가서 상황이론적인 관점에서 연구 문제에 접근하였다. 구체적으로 언제, 어느 조건이 성립될 때, 공급사슬 참여자간의 협력과 기업의 환경성과 간의 긍정적인 관계가 더 강화되거나 유지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논의하면서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였다.

Purpose: Nowadays companies are facing new challenges that need to deal with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in a comprehensive way, and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ways to deal with environmental issues. In this circums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as a situational fac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and the perceived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companies. Composition/Logic: This study is composed of 5 sections. The first introduction section explains the motivation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second section sets the research hypothesis of this paper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through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The third section outlines research data, variables, and methods. And the following section presen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Finally, through the last se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paper are discussed. Findings: Between January and May 2014, surveys were conducted on import and export companies located in Korea and China.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628 observat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in the supply chain, the higher the perceived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the company, and the company s innovation-oriented culture strengthen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m. Originality/Value: This study has taken a closer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operation between supply chain participants and the corporate environmental performance, by using the perspective of situation theory. Specifically, When and under which conditions were established, the positive effects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between supply chain participants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could be strengthened, maintained, or chang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의 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