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193.jpg
KCI등재 학술저널

Establishment of an Evaluation System for Port Infrastructure Competitiveness: Support Sustainable Marine Transportation

  • 6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항만시설 경쟁력을 평가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현재 전 세계 다양한 해운항만물류 관련 평가체계는 정량적 또는 정성적 중심으로 이루어져 종합적인 평가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우리나라 해운항만물류분야에 대한 평가는 다소 절하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및 정성적 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종합적이고, 최근의 글로벌 해운항만물류 트렌드를 반영한 평가체계를 개발하였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는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2장은 항만 관련 선행연구와 해운항만물류 관련 지수의 국내외 사례연구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려한다. 3장에서는 평가체계 개발 과정 및 평가 방법을 소개한다. 4장은 우리나라 항만을 대상을 수행한 시범사업의 평가 결과를 제시한다. 결과: 30개 무역항을 대상으로 평가해본 결과, 우리나라 항만은 전반적으로 안전하고 디지털 관련 시설이 잘 확보되어 있는 반면 정시성 확보를 위한 시설 개선 및 운영 효율성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친환경 시설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와 개발은 매우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독창성/가치: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항만시설의 경쟁력 수준을 정시성, 안전, 친환경, 디지털 등 다양한 부문에 대한 정량적·정성적 요인들을 동시에 반영하는 포괄적인 평가체계는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포괄적인 평가가 가능한 지수를 개발한데 큰 의미가 있고, 시범평가를 통해 우리나라 항만의 주요취급 화물별 시설 경쟁력 수준을 파악하였다. 이는 향후 우리나라 항만시설 경쟁력 제고를 위한 투자 및 개발의 우선순위 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지속적인 수정/보완을 거쳐 국제지수로 확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derive improvement points by evaluating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port infrastructure. At present, various shipping-port-logistics related evaluation systems around the world are either quantitative or qualitative rather than comprehensive evaluation. However, the result of evaluation for the shipping-port-logistics sector in Korea on a global level is undervalued and this is different from the real situation. Composition/Logic: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2 attempts to derive implication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ports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of shipping port logistics-related indices. Chapter 3 introduc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valuation system(index) and evaluation method. Chapter 4 present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pilot project that conducted the port in Korea. Finding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30 trade ports in Korea, it was found that Korea s ports are generally safe and digitally secured, while improving facilities and improving operational efficiency are needed to secure on schedule time. In particular,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it is urgent to make a large investment toward developing eco-friendly facilities. Originality/Value: In this study, it was meaningful to develop an index capable of such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through the pilot project, the competitiveness level of facilities in each port of Korea was identified.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initial resource for the prioritization of investment and development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trade ports in the future. Furthermore, in the long term, it would be expanded to the international index through continuous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사례연구

Ⅲ. 평가체계 개발

Ⅳ. 시범 평가 및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