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218.jpg
KCI등재 학술저널

만주 망명 가사 <해도교거사(海島僑居辭)>와 <분통가(憤痛歌)>에 대한 비교 고찰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nchurian Exile Gasa <Haedogyogeosa> and <Buntongga> - Focusing on the Percep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Female and Male Authors and Cultural Meaning

DOI : 10.20516/classic. 2020.49.77
  • 85

본 연구는 근래 새롭게 실체가 확인된 만주 망명 가사 <해도교거사(海島僑居辭)>를 <분통가(憤痛歌)>와 비교 분석하여 만주라는 변방에서 여성과 남성이 현실을 인식하고 그것을 가사 문학으로 표현한 방식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두 자료에 보다 입체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현실 인식과 표현 미학의 접점과 차이에 주목해 보았는데 만주 망명이라는 극단의 선택과 고난 속에서 가사 문학으로 내적 고뇌를 발산하고 소통하면서 현실을 견디고자 했다는 점에서 두 작품은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분통가>는 남성으로서 중시했던 유교 관념이나 역사 의식에 기반하여 구성된 작품으로 교술적이고 추상적인 표현이 주를 이루는 반면 <해도교거사>는 장면의 구체성이나 형상화의 핍진성 등이 두드러진 점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특히 <해도교거사>의 서사에는 일상적인 삶이나 인간적 가치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여성의 감수성이 녹아 있어 <분통가>와는 다른 미감(美感)이 발견되었다. 또한 <해도교거사>에 보이는 독립을 염원하는 방식은 유대감에 기반한 독려의 표현이 주를 이루고 있어 관념적인 상상으로 독립 이후의 사회를 형상화한 <분통가>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주지하듯 만주 망명을 선택한 이들은 국가와 고향을 그리워하는 변방인이자 경계인으로서의 삶을 지속할 수밖에 없었다. 이 과정에서 가문과 이웃들과 지속된 교류와 결속은 희망이 보이지 않는 고난을 견디게 해주는 정서적 지지대였던 것으로 보이며 그들에게 익숙했던 가사 문학은 이 지지대의 일부이자 소통의 매개로 기능했던 문화적 양식이었다. 여성들과의 교류 및 연대 의식을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사회의 문제를 인식하며 희망을 모색하는 데 있어 가사 문학이 중요한 정서적·언어적 매개물로 기능했고 이 문화적 흐름에 남성도 참여했음이 두 작품을 통해 확인되는 것이다. 따라서 두 작품에 보이는 창작 동기 및 현실 인식의 유사성과 남성과 여성의 차이로 인해 생성된 문학적 특질의 차이는 추상적 이념과 구체적 현실의 교직이라는 상호 보완적인 측면에서 재조명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시각은 만주 망명이나 독립 운동의 역사가 남성 중심적인 시각에서 이해되고 평가되어 온 상황에 대한 비판적이고 보완적인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그 동안 만주 망명의 역사에서 소외되거나 누락된 여성들의 역할과 기록 문화의 의미는 이러한 자료들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토대로 점차 복원되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Haedogyogeosa>, a recently identified Manchurian exile gasa, with <Buntongga>,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way the female and male authors perceived reality and expressed their perceptions in the form of a gasa while living in the border area of Manchuria. This study focused on the points of contact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uthors perceptions of reality and expressive aesthetics, in order to approach the two works in a more three-dimensional way. However, the two works basically share commonalities in that the authors strove to endure their harsh reality by converting their agony into the gasas and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in the midst of the extreme situation that forced them to exile to Manchuria and all the subsequent sufferings. However, <Buntongga>, which was created based on Confucian notions or historical consciousness that were valued among men, mainly features didactic and abstract expressions, whereas <Haedogyogeosa>, which addresses to female readers around the author, shows differences in the way of expressing the hope of national independence compared with <Buntongga>, which is based on ideological imagination. The differences seen in the two works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allow us to examine, from an integrated viewpoint and in a complimentary way,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authors who tried to share their aspiration for national independence with others and society at the same time, as well as to express their inner sufferings.

1. 서론

2. 창작 동기를 통해 본 두 작품의 접점과 거리

3. 경계인으로서의 여성과 남성, 그 표현 미학의 차이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