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고성과작업체제와 마일즈와 스노우의 경영전략분류, 혁신 성과와의 관계를 한국노동연구원 사업체패널자료 중 5차년도(2013년)와 6차년도(2015년)를 추출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초점은 경영전략이나 고성과작업체제가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 그리고 고성과작업체제, 전략, 혁신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적합성관점과 SOR (Stimulus-Organism-Response)관점 등 두 가지 이론적 관점을 실증적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적합성 관점은 고성과작업체제와 혁신과의 관계는 조직이 취하는 전략적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최적의 일치성을 확보하는 전략적 위치가 존재한다는 관점이다. 실증모델에서는 전략과 고성과 작업체제의 상호작용변수가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 반영된다. 한편 SOR관점은 고성과 작업체제가 전략과 혁신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에 반영된다. 이 두 가지 관점을 실증분석모델로 반영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학문적 시사점을 얻고자 한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인과관계 모호성을 개선하기 위해 독립변인은 1기 래그값(2013년, 5차자료)을 사용하고 종속변인인 혁신성과는 2015년 6차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에 2년간의 시차를 두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반적으로 선도전략과 분석전략을 취하는 조직은 방어전략을 취하는 조직에 비해 혁신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분석결과는 적합성 관점은 지지되지 않았고 SOR 관점이 유의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영전략의 조절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고성과 작업체제가 전략과 혁신의 관계를 매개하는 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난 것이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한계, 방향 등을 서술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the relation among HPWS, strategy, and innovation, based on the sample extracted from KLI(Korea Labor Institute) workplace panel data. We utilized the workplace data set composed of The 5th year(2013) and the 6th year(2015). The aim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s to analyze whether the impact of HPWS or strategy on the workplace innovation is positive or not. Second is the comparative test of Strategic-fit hypothesis or SOR(Stimulus-Organism-Response) hypothesis, which is expressed as moderation or mediation. Moderation represent for the strategic-fit model, meanwhile mediation represent for SOR model. We tried to improve the causality problem by using independent variables as 2-year precedent time lag than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are arranged as follows. First, prospector strategy and analyzer strategy made positive impacts on the workplace innovations compared to defender strategy. Second, The mediation effect of HPWS between strategy and innovation was significant, which implies that SOR perspective is more available than strategic fit perspective. Finall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I. 서 론
II. 연구가설
III. 연구 방법
IV. 분석결과
V.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