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 of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Mattering -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 467
152254.jpg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부의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결혼만족도 간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와 동시에 자기효과와 배우자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모형(APIMeM: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서울, 충남, 경기, 천안, 강원 등에서 현재 결혼생활을 하고 있는 기혼 부부 262쌍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의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은 본인의 결혼만족과 본인의 대인존재감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아내 대인존재감에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아내의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은 본인 결혼만족과 본인의 대인존재감에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남편의 결혼만족과 대인존재감에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아내와 남편 모두 자신의 결혼만족에 대인존재감이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남편의 불안애착모형과 회피애착모형, 아내의 회피애착모형은 독립변인에서 매개변인으로 가는 경로, 매개변인에서 종속변인으로 가는 경로에서 모두 자기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아내는 불안애착모형에서 독립변인에서 매개변인으로, 독립변인에서 종속변인으로 가는 경로에서 자기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남편의 대인존재감은 자신의 불안애착, 회피애착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매개변인인 대인존재감이 남편 자신의 결혼만족도를 높이는 변인임을 확인 하였으며, 남편과 아내에 따라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변인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attering,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ried couple s adult attachment(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To this end, this study used the APIMeM(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for the analysis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on 262 married couples who are currently married in Seoul, Chungnam, Gyeonggi, Cheonan, and Gangwon,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usband s anxiety attachment and avoidance attachmen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his marital satisfaction and his mattering,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wife s mattering. The wife s anxiety attachment and avoidance attach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er marital satisfaction and her mattering,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husband s marital satisfaction and mattering. Both wife and husband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attering in their marital satisfaction. Second, the husband s anxiety attachment model and avoidance attachment model, and the wife s avoidance attachment model showed significant actor effects on the path from the independent variable to the meditation variable and from the meditation variable to the dependent model. And the wife s anxiety attachment model showed significant actor effects, on the path from the independent variable to the meditation variable and from the independent variable to the dependent variable. Third, the husband s mattering showed an actor effect that does a partial medi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mattering, the mediating variable, is a variable that increases the husband s marital satisfaction, and that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marital satisfaction differ depending on the husband and the w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Ⅴ. 연구의 의의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