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이라마 방문이 중국과의 교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alai Lama’s visit on trade with China
- 조성택(Sungtaek Cho)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 동북아경제연구
- 東北亞經濟硏究 第30卷 第3號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8.09
- 1 - 19 (19 pages)
최근 들어 국가 간의 정치적 이해관계가 국제무역에 투영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국내적으로는 정치적 안정과 국제적으로는 주도권 확대라는 목표를 통해 정치적 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는 주변국과의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달라이라마 방문을 허용하는 국가들에게 경제적 제재로 대응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중국과의 교역당사국들은 이러한 사안에 주목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국제사회가 티벳의 독립에 대해 언급하거나 관련활동을 하는 것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달라이라마 방문을 허용하는 것은 자국의 핵심 이익을 침해하는 행동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달라이라마의 해외 방문 횟수와 방문국 수가 증가하면서 중국의 무역보복 또는 제재조치가 중국의 경고발언 만큼이나 적극적으로 이루어질지에 대한 의문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배경하에서 달라이라마 방문이 교역당사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1992년부터 2016년까지 196개국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방문을 허용한 국가와 그렇지 않은 국가를 비교하였고 성향점수매칭을 통해 방문허용국가인 처리군과 매칭을 통해 설정된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분석방법은 DID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달라이라마 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Recently, as each country’s political interests is being reflected in international trade, China is promoting and expanding its political stability and hegemony in domestic and foreign issues. Such political actions can lead to an political and economic conflicts. Especially, It is generally known that China has been applying economic sanctions against the countries that allow Dalai lama to visit. The trading partners of China is paying attention to these issues. China is responding sensitively to the countries that does seeks tibetan independence and even speaks publicly the issue. Also, China government strongly argues that all actions related to supporting tibet’s independence are to infringe upon “China core interest”. However, as Dalai lama’s visit increase, It raise a question about the level of China’s sanction against the countries that Dalai lama have ever visited. With this background,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Dalai lama’s visit on the trading partners of China through DID model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using the trading data including 196 countries from 1992 to 2016. The results show that the Dalai Lama effect could not be found in this study.
Ⅰ. 서 론
Ⅱ. 분석방법 및 자료
Ⅲ. 분석결과
Ⅳ. 요약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