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국의 문화제조업과 문화서비스업의 지역별 상대적 효율성 비교

A Study on the Efficiency Analysis of the Cultural Manufacturing and Cultural Service Industry in China

  • 8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DEA-Malmquist 지수를 이용하여 중국의 문화산업을 문화제조업과 문화서비스업으로 구분하여 지역별 상대적 효율성을 비교하고 있다. 효율성 분석의 투입변수로는 자산과 종사자수를 이용하고 있으며, 산출변수로는 영업수입을 이용하고 있다. 실증분석의 지역구분은 31개 지역을 기존으로 하고 있으며 2012년과 2013년의 자료를 이용하고 있다. 문화제조업과 문화서비스업의 Malmquist 지수를 비교하면 몇 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는 문화제조업은 지역별 평균 효율성이 개선되고 있는 반면에 문화서비스업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 이는 문화제조업이 문화서비스업보다 더욱 효율적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는 문화제조업이 전국적으로 더욱 광범위하게 발전하고 있고 문화서비스업은 지역적으로 집중하고 있다. Malmquist 지수가 1보다 큰 지역이 문화제조업은 19개이지만 문화서비스업은 이 보다 적은 13개이다. 셋째는 동부 연해안 지역의 지역경제발전 수준이 높은 지역은 문화제조업과 문화서비스업의 상대적 효율성이 모두 높다.

This paper analyzes the efficiency of the cultural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cultural service industry in China, based on the regional level, using the DEA-Malmquist index. The input variable includes the asset and the employed persons, the output variable include the total revenue. The region uses the 31 regions, and the time period is from 2012 to 2013. The result find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iciency of the cultural manufacturing industry is improved, but the average of the cultural service industry is not improved. It means that the cultural manufacturing industry is more developing than the cultural service industry. Second, the cultural manufacturing industry is developing widely in the national spatial level, and the cultural service industry is developing by the concentrated spatial level.

Ⅰ. 서언

Ⅱ. 선행연구

Ⅲ. 중국의 문화산업 분류 2012

Ⅳ. 실증분석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