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의 동아시아에 대한 정보통신기술 제조업 수출함수 분석
The Determinants of Korean Expor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dustry: Focusing on Exports to East Asian Countries
- 김완중(Wanjoong Kim)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 동북아경제연구
- 東北亞經濟硏究 第27卷 第4號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5.12
- 1 - 34 (34 pages)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은 한국경제에 있어서 매우 주요한 산업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ICT 제조업 수출의 구조변화를 살펴보고 한국의 ICT 수출시장으로서 역할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동아시아국가에 대한 수출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 11개국에 대한 ICT 제조업 수출 결정요인을 패널 동태 OLS(panel dynamic OLS)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분석결과, 수출대상국의 달러환율과 실질 GDP가 한국 ICT 제조업 수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수출대상국에 대한 ODI 역시 ICT 제조업 수출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출대상국에 대한 ODI가 ICT 제조업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수출대상국의 달러환율이나 실질 GDP가 ICT 제조업 수출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크게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동북아 국가보다는 동남아 국가에 대한 수출이 ICT 제조업 수출 결정요인 변화에 대해 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is the key industry of Korean economy. In this paper, I find the change of structure of Korean export in ICT industry; the role of east Asian countries as export market is getting larger in the exports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Based on panel dynamic OLS regression, I try to find the key determinants of Korean ICT exports. The panel consists of exports to 11 east Asian countries: China, Taiwan, Hong Kong, Japan, Indonesia, Malaysia, Thailand, The Pilippines, Singapore, Vietnam, India. The results show that exchange rates and real GDP of importing countries are the key determinants of Korean ICT exports. It is found that FDI to importing countries has the positive effect on Korean ICT exports but the magnitude of the effect is smaller than the variables such as exchange rates and real GDP in importing countries. In addition, export elasticities to southeast Asian countries is larger than northeast Asian countries.
Ⅰ. 서론
Ⅱ. 한국 ICT 제조업 수출 현황 및 구조 변화
Ⅲ. ICT 제조업 수출결정요인 분석
Ⅳ. 요약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