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Rape shield laws were legislated to encourage the rape victim to report against the offender by protecting the victim’s privacy and promoting the victim’s prosecution. The United States legislated rape shield laws through the federal evidence law and fifty states law, starting 1980s, in order to protect the rape victim’s human rights. On the other hand, though our country introduced the system that protects the victim’s right in the criminal procedure which was reformed in 2007, June, and the punishment of sexual violence crime and the law for the protection of the victim which was reformed in 2003, we lack the actual system that could protect the victim’s second victimization. Therefore, it is time for our country to install the actual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the rape victim through the law like the United Sates’ protection law for the rape victim. In relation with this, our country needs to reconsider whether the evidence concerning rape, such as the victim’s occupation, education, and the victim’s past sexual experience, which I think, are irrelevant, has any actual connection with the case of rape, or not. Especially, if this custom practiced in the criminal procedure is based on the patriarchal prejudice, this can be a problem related not only with question of the victim’s right in the criminal procedure, but also with the right of equality in the constitution. In conclusion, I insist that our penal law system has to accept the rape shield laws to protect the victim of sexual offence. Through this, by preventing the victim’s second victimization, the victim can be more accessible to prosecute against the sex offender. Therefore, the government can realize the social justice through the punishment of these criminals.
목차
Ⅰ. 서론
Ⅱ. 형사절차에 있어 성폭력 피해자 보호를 위한 증거제한의 필요성
Ⅲ. 미국의 강간피해자보호법(Rape Shield Law)
Ⅳ. 제도도입에 따른 문제점과 도입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35)
- 어음·手票의 僞造와 變造에 관한 責任問題
- 動機의 錯誤에 관한 새로운 理解
- 行政诉讼法是行政法发展的一个分水岭吗?
- 간접고용에서 부당노동행위 형사책임주체
- 유럽共通法(ius commune)의 경험과 동아시아
- 행정소송의 개혁과 금후의 전망
- 행정소송법은 행정법 발전에 있어서의 분수령인가?
- 한국 행정소송제도와 일본 신행정소송제도의 비교 연구
- 가사사건에 있어서 관련사건의 객관적·주관적병합과 관련재판적
- 중국 조합의 파산에 관한 3가지문제
- 전자소비자계약의 성립시기
- 日本における民法改正
- 세법상 임원개념 및 해석에 의한 확대적용가능성
- 개정 독일채권법에 따른 법정해제권자의 면책특권에 관한 고찰
- 저작인격권의 특질에 관한 소고
- 京都大学法科大学院が抱える問題点
- 司法制度改革と民法教育
- 유럽공동체법에 따른 기본권제한시 유럽인권재판소의 인권보장
- 정보공개소송에서의 쟁점
- ヨーロッパの共通法(ユス·コムーネ)経験と東アジア
- 발간사
- 日本의 司法制度改革과 民法敎育
- 성폭력 피해자 보호를 위한 증거제한에 관한 연구
- 유럽소비자계약법에 있어서 철회권에 관한 고찰
- 京都大学法科大学院における基礎法教育
- 日本의 民法改正
- 經濟的 不法行爲와 損害賠償責任
- 妻가 남편의 名義로 체결한 金錢貸借契約의 效力 - 계약당사자의 확정과 행위자
- 법익론의 생성, 발전과 변환
- 한중 중재판정부의 사실인정 및 법률적용에 있어서의 권한
- 合伙企业破产三题
- 醫療行爲에 있어 未成年者의 同意能力에 관한 考察
- 교토대학 법과대학원이 안고 있는 문제점
- 교토대학 법과대학원에서의 기초법 교육
- 行政訴訟の改革と今後の展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