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극동ㆍ자바이칼지역 개발 프로그램과 동북아 지역협력
Russia’s Far East and Trans-Baikal Development Program and North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 성원용(Weon-Yong Sung)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 동북아경제연구
- 東北亞經濟硏究 第24卷 第1號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2.03
- 1 - 38 (38 pages)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러시아의 극동지역의 개발 전략과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극동지역 개발의 가능성과 제약, 그리고 이 프로그램을 동북아의 지역협력의 발전과 긴밀하게 연계하여 실현하기 위한 조건을 분석하는 것이다. 최근 러시아는 「극동ㆍ자바이칼 개발 프로그램 2013」, 「극동개발전략 2025」 등을 통해 극동ㆍ자바이칼 지역의 경제잠재력의 증대, 아ㆍ태지역에서 러시아의 국가이익 실현, 안락한 거주환경 구축 및 정주 강화 등을 지향하는 종합적인 지역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그렇지만 에너지와 교통 등의 분야에서 극동지역의 개발과 동북아 지역협력이 상호 연계 발전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의 재원부족 등 개발 프로그램의 한계, 그리고 동북아 지역주의에 내재된 국가 간 협력과 경쟁의 이중주의 때문에 지금까지의 결과는 매우 실망스러운 상황이다. 향후 한국을 비롯한 역내 국가들은 역내 경제통합과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담보하기 위해 극동지역의 개발 잠재력을 활용하는 적극적인 투자진출을 모색해야 하며, 상호신뢰를 전제로 전략적 이익 공유지점을 실질협력 사업으로 전환하며, 양자ㆍ다자 지역협력을 위한 제도적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rst examine the latest Russian Far East development strategy and then analyze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its development program, and conditions for development to be closely linked with North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Recently Russia has tried to implement strategy for developing backward Russian Far East and Trans-Baikal regions and to enforce its economic cooperations with Asia-Pacific countries through the federal target program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Far East and Trans-Baikal until 2013” and “Strategy for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the Far East and the Baikal Region until 2025.” However, in spite of the fact that Russian Far East development and North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have great potential for closely interlinke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energy and transportation, the results up to the present day have been disappointing due to shortage of development funds in Russia and dualism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Accordingly, in order to achieve economic cooperation and sustainable growth in NEA, all neighboring countries in this region need to actively enter into the Far East, to transform strategic potential of common interests based on mutual trust into real business cooperation projects, and to establish institutional basis for bilateral and multilateral regional interaction.
Ⅰ. 서론
Ⅱ. 「극동ㆍ자바이칼 개발 프로그램 2013」
Ⅲ. 「극동발전전략 2025」
Ⅳ. 「연해주 발전전략 2025」와 연해주 지역개발계획
Ⅴ. 극동지역개발의 이상과 현실
Ⅵ. 결론을 대신하여-극동개발과 동북아 지역협력의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