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환율변동의 동북아 주요교역대상국 한ㆍ미ㆍ일 무역수지에 대한 효과 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Yuan’s Appreciation and Trade Balance Effect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 동북아경제연구
- 東北亞經濟硏究 第23卷 第2號
-
2011.0655 - 80 (26 pages)
- 55
위안화의 가치는 실질적으로 1997년 이후로 고정되어있고 미국은 위안화의 고정된 가치가 2008년을 기점으로 나타난 세계경제위기의 원인으로 지적한다. 이러한 문제인식으로 인해서 위안화의 평가절상문제는 지난 해 한국에서 있었던 G20의 주요의제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의 시장경제정책이 세계경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하기 위한 모델을 세우고 위안화의 평가절상이 중국소득과 중국의 주요교역 파트너들 즉, 한국, 일본, 미국의 소득 변화효과를 평가한다. 본 연구는 장기회귀분석을 위하여 공분산검증을 시도하였고 단순 공분산검증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에러를 수정하고 단기 동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벡터에러수정모델을 만들었으며 이 모델을 바탕으로 충격반응분석과 에러오차분산 분해를 실시하였다.
The value of yuan is actually fixed after the finance crisis at the year 1997. U.S.A point out the fixed yuan value as a cause of finance crisis at the year 2008 and ask for an appreciation of yuan. This demand is suggested as the main theme of G20 because of the expectation about solving the global imbalance, so called inflation and overheating of economy. This paper studied about the economic effect of the market economic policies of china on the global economy, and set the statistical model that estimate the effect of the change of chinese income, the change of income of trade partner of china and the appreciation of yuan on the trade balance and finally researched the change of trade balance of partner countries of China, U.S.A., Japan, and Korea. We tried to covariance empirical analysis in order to research the long-time regression, and made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to analyze the short-term dynamics and to correct the error which can appear by the simple covariance empirical analysis. We tried orthogonalized impulse response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 of a independent variance on a dependent variable and forecast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to grasp the forecast ability of variables.
Ⅰ. 서론
Ⅱ. 환율변동의 이론과 실증분석모형
Ⅲ. 위안화 평가절상의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Ⅳ. 한.미.일에 대한 위안화 평가절상의 효과추정
Ⅴ.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