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대회자료

건축물 용도별 소방시설 작동유무에 따른 화재리스크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Fire Leak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Fire Protection System by Buildings Usages

  • 59

구조물의 리스크 설계에 관해서 한국은 2009년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위해 교통해양부의 도로터널 방재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을 도입함으로서 도로터널의 정량적 위험도평가인 QRA (Quantitative Risk Assesment)를 통해 위험도를 평가하고 있다. 건축물읜 경우 2011년 소방시설 등의 성능위주 설계 방법 구축되었으나, 시나리오상소화 및 방화설비의 작동 유무의 상황 및 건축물 용도나 규모에 따른 출화율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또한 건축법상 피난 및 방화설비에 관한 기준은 명시하고 있지만 화재 리스크 평가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국외의 경우 미국은 ISO TS 16732, NFPA 511, ASTM 1776, SFPE 등의 가이드를 활용하여 건축물의 화재위험 평가를 하고 있으며, 권한사항 및 소실 측정에 관한 방법을 제한하고 있다. 일본은 잠재적인 화재 리스크와 허용수준 등을 고려한 화재안전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건축공간의 피난 리스크 크기에 따른 설계화원을 결정하는 설계방법 등의 연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건축물 용도별 출화율에 따른 위험도 분석은 진행 되고 있지만, 소손면적을 고려한 성장화재 및 소화재에 관한 연구 및 소방설비의 작동신뢰성에 따라 화재 위험성을 평가기 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화재 통계자료를 사용하여 건축물 용도별 소손면적을 고려한 성장화재 리스크를 분석하고, 스프링클러 작동유무에 따른 화재피해 유형에 관하여 분석하고자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