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레인지의 화재 위험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ire Risk of Electric Range
- 송재용(Jae Yong Song) 천수영(Su Young Cheon) 김승진(Seung Jin Kim) 김선재(Sun Jae Kim)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2020.07
- 60 - 60 (1 pages)
최근의 조리기구는 사용의 편리성과 안정성 및 높은 에너지 효율 등을 이유로 연료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식에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전기레인지의 형태로 빠르게 바뀌고 있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조리기구의 사용 방식 변경에 따른 사고 및 화재 발생의 양상 또한 과거 가스 누출 등에 의한 폭발이나 화재 사고와는 달리 전기적 결함 또는 취급 부주의로 인한 사고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출시되는 전기레인지는 화력조절 스위치 등이 대부분 정전 터치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태로 전원 공급 여부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판에 올려 있는 가연물을 매개로 화재가 발생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고양이 등의 반려 동물 등이 접촉하는 과정에서도 켜짐 상태로 절환되면서 화재가 발생하기도 한다. 다만 전원 및 화력 조절 스위치가 터치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사고 발생 이후에는 사용 여부에 대한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레인지로 인한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례 분석을 통하여 전기레인지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현장 연소형상을 분석하였으며, 가연물 근접 접촉에 따른 화재 발생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전기레인지로 인한 화재 위험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전기레인지의 가열 방식은 저항가열 방식과 유도가열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이들 사용 방식에 따른 화재 발생 양상 및 화재 위험성을 실험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전기레인지의 사용 방식 및 가연물 위치에 따른 화재 발생 양상의 기초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전기레인지로 인한 화재 발생 양상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전기레인지로 인한 화재 발생 시, 화재 원인 조사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