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vergence of East Asian Stock Markets
- 이근영(Keun Yeong Lee)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 동북아경제연구
- 東北亞經濟硏究 第21卷 第1號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9.04
- 193 - 225 (33 pages)
본 연구는 1992년부터 2007년까지의 일별 자료를 사용하여 동아시아 주식시장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일본시장을 중심으로 어느 정도 동조화되어 왔는가를 분석하였다. 동조화 현상을 분석할 때 기존 연구들이 사용하고 있는 공적분검정방법은 현재완료형인 검정방법인 반면 1990년대 이후 동아시아 주식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동조화 현상은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적분검정방법이 아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모수가 변하는 추정방법을 이용하였다. 시변적인(time-varying) 모수추정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칼만 필터 최우추정방법(Kalman Filter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외에 베이지언 깁스 샘플링(Bayesian Gibbs Sampling)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결과의 신뢰성을 높였다. 또한 본 연구는 단변량 분석뿐만 아니라 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모형과 같은 다변량 분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추정결과가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추정결과를 살펴보면 한국, 중국, ASEAN 5개국(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주식시장은 외환위기기간과 세계경기가 회복됨에 따라 세계주가가 다시 상승했던 2003년과 2005년 사이의 기간을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일본 주식시장에 동조화되어 왔다. 반면 홍콩, 대만, 인도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동조화 현상은 일별 자료 외에 2일간의 평균자료, 주별 자료, 월별 자료를 사용하는 경우는 물론 달러표시 주식수익률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한편 내부시장으로 일본주가지수 대신 MSCI 가중지수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아시아 지역 내에서의 동조화 현상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아시아 7개국이 국제무역과 금융분야에서 일본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들 주식시장이 세계주식시장과 통합되는 과정에서 어느 다른 주식시장보다 일본주식시장과 더 지역적으로 동조화되어 가는 반면 이 지역에서의 분산투자(diversification investment)에 따른 위험회피효과는 크게 줄어듦을 보여주고 있다.
Ⅰ. Introduction
Ⅱ. Estimation Models
Ⅲ. Estimation Methods
Ⅳ. Estimation Results
Ⅴ. Conclu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