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준분류에 기준한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관련 전공의 제4차 산업혁명중심 교육과정 운영 현황 분석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Oriented Curriculum of the Computer and Software-Related Majors Based on the Standard Classification
- 최진일(Jin-Il Choi) 최철재(Chul-Jae Choi)
- 한국전자통신학회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제15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6
- 587 - 592 (6 pages)
본 논문은 4차 산업 혁명에 필요한 핵심 IT 관련 기술을 교육하는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관련 전공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대학교육협의회 표준분류위원회의 대학교육 편제단위 표준분류에 따라 응용 소프트웨어와 컴퓨터과학 및 컴퓨터공학으로 분류 된 158개 전공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해당 학과의 교육내용 중 사물인터넷과 모바일, 클라우드와 빅데이터, 인공지능, 그리고 정보보안의 분야로 구분한 교과과정의 도입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각 교육과정 군에 대해 평균 81.6%의 전공이 관련 교과목을 교과과정에 편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분야별 트랙 운영 등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한 전공별 4차산업혁명 대응지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27.5로 나타났으며, 사물인터넷 및 모바일 분야가 42.3점으로 가정 높게 나타났다.
This paper analyzed the curriculum of computer and software-related majors educating the core IT-related skills needed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158 majors classified as applied software, computer science and computer engineering according to the standard classific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units by the Standard Classification Committee of the Korean Council of University Education. The current status of introduction of curricular divided into the fields of Internet of Things(IoT) & mobile, cloud &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information security was analyzed among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the relevant departm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an average of 81.6% of the majors for each group of curricular organized related subjects into the curriculum. The Curriculum Response Index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CRI4th) by major, calculated by weighting track operations by education sector, averaged 27.5 point out of 100 point. And the IoT & mobile sector had the highest score of 42.3 points.
Ⅰ. Introduction
Ⅱ. Current Status of Curriculum by Standard Classification
Ⅲ. Analysis of 4th IR-oriented curriculum
Ⅳ.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