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361.jpg
KCI등재 학술저널

Cross-border Succession in Japan, Korea and China and Related Legal Issues

  • 67

한중일의 지리적 근접성과 인구의 자유로운 이동에 의해 한중일간의 국제소송에 관한 분쟁은 최근 몇년간 점차 늘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각국의 서로 다른 국제사법(저촉법)규율은 분쟁당사자에게 있어 법의 불확실성, 예측가능성의 결여 또는 법정지 쇼핑이라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법적 상황을 고려하여, 이 논문은 한국, 중국, 일본 그리고 북한의 저촉법규율이 어떻게 서로 다른지는 보여 주고 거기에서 기인하는 법적 쟁점, 예를 들면 상속준거법에 있어서의 단일의 원칙과 분리의 원칙, 연결점으로서의 국적과 상거소의 문제, 당사자자치의 원칙과 반정의 문제를 비교국제사법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특히 일본에 거주하는 특별영주권자들과 관련된 상속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동북아시아의 서로 다른 저촉법적 접근이 어떠한 법적 문제를 낳고 있는가를 고찰한다. 이 논문은 또한 최근의 국제소송에 관한 EU의 동향 즉, 국제상속문제에 관한 EU규정의 채택에 주목하고 있는데 그러한 동향과 발전이 동북아시아에 어떤 시사점을 안겨 주는지 분석한다. 결론으로 이 논문은 동북아시아의 상속에 관한 저촉법규정을 통일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님을 지적한 후에 우선 일본에 있어서의 특별영주권자들과 관련된 상속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법개정이 필요한데 예를 들어 상거소지법이나 부동산소재지법을 당사자가 상속의 준거법으로서 선택할 수 있도록 당사자자치가 인정되어야 한다고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법적 안정성과 적절한 준거법으로의 연결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당사 자자치를 인정하고 있는 한국의 국제사법과 EU규정은 참고할 가치가 있다고 한다. 이 논문은 또한 EU규정이 상속의 준거법과 관련하여 동산, 부동산을 분리하지 않는 단일의 원칙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고 지적한다. 그리고 저자는 단일의 원칙이 다른 요소에 의해서 깨어지지 않도록, 반정규정은 피상속인이 상거소지법이나 본국법 또는 재산소재지법을 상속의 준거법으로 지정하였을 경우에는 제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disputes regarding international succession have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in Japan, Korea and China due to the geographical proximity and free movement of people between those countries. However, the different conflict rules may raise the question as to legal uncertainty, lack of predictability and forum shopping in cross-border succession issues. Considering this legal situations, this paper explores the general legal issues arising out of the different conflict rules on succession in Japan, Korea and China, including North Korea, such as unity and scission principle, nationality and habitual residence as connecting factors, party autonomy issues and renvoi, from a comparative conflict of laws perspective. It especially focuses on international succession matters involving the so-called “special permanent residents” in Japan and analyzes the legal issues arising out of existing conflicts rule of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And also this paper examines the recent European developments on cross-border succession, that is, the adoption of the Regulation (EU) No 650/2012 on jurisdiction, applicable law,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decisions and acceptance and enforcement of authentic instruments in matters of succession and on the creation of a European Certificate of Succession, in order to make clear whether or not any implications could be drawn from them.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solve the “special permanent residents” issues in term of succession, the party autonomy, which is limited to the choice of the law of habitual residence and the lex situs should be allowed in choice of governing law for succession, in order to ensure legal certainty and to connect to the appropriate governing law. In this regard, the Korean choice-of-law rules and the EU Succession Regulation adopting party autonomy in succession could be referred to. It also indicates that the EU Succession Regulation gives some implications in that the unity principle in succession, which is to connect both movable and immovable properties to the deceased’s personal law, was adopted although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connecting factor is more appropriate, the lex patriae or habitual residence. Under the reference of the EU regulation, it is also suggested that, in order for the unity principle not to be broken up by another element, a renvoi should be restricted, where the deceased made a choice of the governing law for succession such as the law of habitual residence, the law of nationality and the lex situs.

Ⅰ. Introduction

Ⅱ. Conflict Rules on Succession in Japan, Korea and China: A Comparative Analysis

Ⅲ. Some Special Issues relating to the so-called “special permanent resident ” in Japan

Ⅳ. Developments in the EU : Suggestive to East Asia?

Ⅴ. Conclusion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