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402.jpg
KCI등재 학술저널

가계의 자산선택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usehold’s Perception of Asset Portfolio

DOI : 10.37727/jkdas.2020.22.3.1119
  • 77

우리나라 가계자산에서 부동산자산은 전체 자산의 70%가 넘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금융자산에서도 예금이 90% 이상으로 안전성 금융자산에 편중되어 있다. 본 연구는 부동산 편중현상의 요인과 위험들을 알아보고 대안을 찾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동산의 목적은 거주에 있고, 거주에 맞는 적합하고 다양한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정부는 장기 임대주택, 거주지 마련을 위한 금융상품개발, 그리고 그러한 상품들에 세제혜택을 부여하는 등 주거의 안정과 주거 편의를 제공하는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 셋째, 금융자산의 수익률을 위하여 해외의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상품을 개발하고, 금융회사는 ‘자산관리·고객관리’ 서비스를 재정비하여 무너진 고객과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넷째, 정부와 금융기관은 올바른 포트폴리오 배분을 위한 재무교육을 진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계 자산의 편중으로 인한 위험은 분산시키고 가계가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추가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부동산 간접금융상품의 다양한 사례와 우리나라 부동산 간접금융상품의 현황 및 만족도를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그러한 간접상품으로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이 확대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Real estate assets in Korea account for over 70% of all assets, and the portion of deposits out of all financial assets is more than 90%. It means that asset portfolio is mainly concentrated on safe financial assets.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factors and risks of real estate bias phenomenon and searches for better alterna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real estate is in residence. Therefore appropriate and diverse policies suitable for residence are needed.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make a policy that provides housing stability and housing convenience. For example, long-term rental housing, financial product to provide housing, and tax benefits to such products can be considered. Third, to increase the return of financial assets, products investing in various overseas assets should be developed. Financial companies should reorganize the asset management and customer management service and should try to restore the collapsed credibility with customers. Fourth, the government and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conduct financial education for efficient portfolio allocation to the inves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iversify risks due to biased investment in household assets and to help households lead stable lives free of risks. Further research needs to study the various cases of real estate indirect financial products in developed countries and to study the status and satisfaction level of real estate indirect financial products in Korea. Various methods should be studied to expand investor decision making with such indirect products.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실증분석

5.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