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관성 평가를 위한 기여 순수 부호 헬링거 측도의 제안
Proposal of Attributable Pure Signed Hellinger Measure for Assessing Association Rule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2 No.3
- : KCI등재
- 2020.06
- 987 - 998 (12 pages)
데이터의 중요성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동시에, 이를 활용하기 위한 시도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시대에 의미 있는 정보를 선별해내기 위해 많은 기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관성 평가 기준 중에서도 기존의 부호 헬링거 측도와 순수 부호 헬링거 측도에 비해 연관성 규칙 평가 기준으로 좀 더 적합한 기여 순수 부호 헬링거 측도를 제안하였으며, 예제를 통하여 동시 발생 빈도와 불일치 빈도의 증감에 따른 변화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측도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기여 순수 부호 헬링거 측도를 기존의 부호 헬링거 측도와 비교해보면 절대값의 크기가 부호 헬링거 측도에 비해 기여 순수 부호 헬링거 측도가 더 큰 값으로 나타났으며, 각 사례들 간의 값들을 비교해보면 부호 헬링거 측도보다는 기여 순수 부호 헬링거 측도가 변화량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순수 부호 헬링거 측도와 기여 순수 부호 헬링거 측도의 값을 비교해보면 이 경우에도 부호 헬링거 측도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여 순수 부호 헬링거 측도가 연관성 생성 기준으로서는 기존 측도인 부호 헬링거 측도 또는 순수 부호 헬링거 측도보다는 더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In the age of increasing importance of data and attempts to utilize it, various techniques are being developed to select meaningful information. In this paper, among the association evaluation criteria, we proposed a attributable pure signed Hellinger measure that is more suitable as a association rule evaluation criterion than the existing signed Hellinger measure and pure signed Hellinger measure. The usefulness of the measure was investigated by grasping the change pattern according to. When comparing the attributable pure signed Hellinger measure with the existing signed Hellinger measure, it was found that the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has a larger value of the attributable pure signed Hellinger measure than the signed Hellinger measure. By comparison, it can be seen that the attributable pure signed Hellinger measure has a greater change than the signed Hellinger measur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attributable pure signed Hellinger measure proposed in this paper is more preferable than the existing measure, the signed Hellinger measure and the pure signed Hellinger measure.
1. 서론
2. 기여 순수 부호 헬링거 측도의 유도과정
3. 예제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