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동주택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전기요금체계 분석
Proper Electricity Contrac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Apartment
- 안아림(Ahn, Ah-Rim) 최타관(Choi, Ta-Kwan) 강은택(Kang, Eun-Taek)
- 대한부동산학회
- 대한부동산학회지
- 제56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6
- 159 - 176 (18 pages)
신도시 개발 이후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거 형태는 아파트로 자리잡았다. 특히, 최근에는 단지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선호가 높아짐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세대수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수영장, 사우나, 헬스장, 도서관 등을 아파트 단지 내 공용시설로 설치하고 있다. 공용시설의 증가는 관리비와 사용료를 증가시키기 마련이다. 공동주택 관리와 관련하여 관리비와 사용료는 주민의 관심이 큰 부분이지만 관리비에 비해 사용료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사용료 중에서도 이슈의 중심이 되어 온 전기요금을 고압아파트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압아파트의 이원화된 전기사용계약체계를 분석하고, 공용사용비율에 따른 종합계약과 단일계약의 전기사용요금 차이를 실증함으로써, 사용료 절감측면에서 유리한 전기사용계약이 무엇인지 검토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용사용분의 비중이 35%일 때, 단일계약보다 종합계약이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단일계약이 공용사용분에 누진을 적용하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둘째, 고압아파트에서 부담하는 수변전설비 유지관리비용은 세대당 연간 약 8.8만원으로 분석되었다. 한전에서는 고압으로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전기공급의 효율을 높였지만 고압아파트에 거주하는 각 세대에서는 이에 대한 비용부담을 하고 있었다.
It is important to manage apartment efficiently. management fee is increasing with more shared facilities in apartment. Most residents are interested in maintenance and usage coasts. But, they don’t know well about process of calculating the costs, especially, electricity 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per electricity contrac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apartment. To demonstrate the difference in usage fee among three types of contract, named ho-byeol, jong-hap, dan-il, by the shared facilities part ratio among total electric power usage. This study also analyze the maintenance cost to be supplied with high-voltage electric power. The main results of the scenario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jong-hap contract is more advantageous than dan-il contract when shared part electricity used more than 35%. Second, the maintenance cost of high-voltage facilities is about 88 thousand won per household within an year. Kepco should inform residents of the three types of electricity contract. Also users should be informed that residents maintain their own high-voltage electricity facilitie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고압아파트 전기공급 및 요금체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