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SCOPE 평가도구를 이용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MOHO 모델 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MOHO Model Therapy for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Using SCOPE Evaluation Tool

  • 823
152436.jpg

목적: 본 연구는 인간 작업 모델에 근거 한, 단축 형 아동작업 프로파일 평가도구를 이용해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작업치료 효과를 사례연구를 통해서 인간 작업 모델의 임상적 유의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12세의 남아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었다. 주 2회 총 20회기 작업치료 중재를 하였으며,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중심의 정신건강 작업치료 서비스를하였다. 사전 사후 치료목표의 결과를 측정하고자 단축형아동 작업 프로파일을 통해서 사전 사후 평가의 점수 변화를제시하였고 임상적 유의성을 제안하였다. 결과: 연구대상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작업 의지, 패턴화,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기술, 처리기술, 운동기술, 환경의적응에서 기능적인 증진이 있었다. 결론: 인간 작업 모델에 근거한 단축형 아동 작업 프로파일평가도구를 활용한 정신건강 작업치료 중재 서비스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작업수행증진에 효과성을 규명하는데임상적 유의성이 있었다.

The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human occupation model through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in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using a short child occupational profile evaluation tool based on the human occupation model. The subject was a 12-year-old male child with AS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20 sessions, and mental health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focused on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ere provided. In order to measure the outcome of the pre-post therapy goals, the score change of the pre-post therapy was presented through the short child occupational profile and clinical significance was proposed. There were functional enhancements in Volition, Habituation, Communication & Interaction Skills, Performance Skills, Motor Skills and Environmental Adaptability of the child with ASD. The mental health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service using a short child occupational profile evaluation tool based on the human occupational model was clinically significant in identifying the effectiveness of child with ASD in improving occupational performance.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Ⅴ. 요 약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