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454.jpg
KCI등재 학술저널

임파워링 리더십이 표면행동 및 내면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

DOI : 10.38115/asgba.2020.17.3.89
  • 215

본 연구는 서비스 근로자를 대상으로 임파워링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표면행동, 내면행동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리더십과 감정노동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는 다양한 리더십 행위를 다루어 왔지만, 실제 현장에서 고객들과의 접점에 있는 서비스 근로자들에게 가장 필요할 수 있는 권한위임에 토대를 둔 임파워링 리더십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간과하였다. 또한 서비스 근로자들에게 긍정적인 에너지는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감정노동의 심리적 자원으로서 긍정심리자본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원보존이론에 기반하여 임파워링 리더십이 표면행동 및 내면행동에 미치는 차별적인 효과와 그 심리적 메커니즘으로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 행위로부터 많은 자원을 보유하게 된 부하직원에게 표면행동은 내면행동에 비해 더 나은 감정조절전략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긍정심리자본에 기반한 긍정적인 정서와 인지적 유연성은 부하직원의 정서적 상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표면행동보다는 내면행동을 취할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임파워링 리더십과 표면행동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내면행동과는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임파워링 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 역시도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긍정심리자본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내면행동의 정(+)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링 리더십과 표면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역할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감정노동 연구분야에 대한 이론적 기여점과 서비스 근로자들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mpowering leadership, psychological capital,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for service workers. Although prior literature has paid attention to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leadership styles, they overlooked the importance of empowering leadership in the context of service worker. Also, positive energy is essential to the service worker. Nevertheless, there were few studies investigating the psychological capital as a psychological resource for emotional labor.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the two acting of emotional labor and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 as a mechanism in the relations based on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More specifically, deep acting would be better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han surface acting to the subordinates who gained abundant resources from empowering leadership behavior of their leader. Further, positive affectiv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based on psychological capital could lead emotional status of subordinates to the desired direction. Thus, they are likely to take deep acting rather than surface acting. The results showed that empowering leadership was not related to surface acting while it was positively related to deep acting. Empowering leadership was also posi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capital. Furthermore, psychological capital fully med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deep acting.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surface acting. The findings provide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in the research area of empowering leadership, psychological capital, emotional labor and the managerial implication for service worker.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