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463.jpg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적 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The Empirical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s toward Social Inclusion

  • 135

사회통합과 포용국가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사회통합과 포용국가 달성의 기본 토대인 사회적 포용에 대해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어떠한 요인들이 사회적 포용에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만 19세 이상 69세 이하 성인 남녀 8,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사회통합실태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공동체 의식, 우리나라 민주주의 및 경제 상황에 대한 만족도가 사회적 포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자본 관점에서 본 집단 간 소통 및 정부와의 소통과 일반화된 신뢰가 사회적 포용 수준을 결정짓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배에 더욱 높은 가치를 두고 이타심이 강한 개인일수록 사회적 포용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Social inclusion, as a part of social integration, is one of the most understudied 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clusion and community identity, satisfaction on socio-economic situation, attitude toward distribution policy, and social capital at the individual level. Drawing from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capital theor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 toward social inclusion. Based on a survey of 8,000 individuals, this study finds that community identity, satisfaction on socio-economic situation, and social capital is more likely to increase the level of social i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ocial inclus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