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지관 노인들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in the Welfare Center
- 한지훈(Han Jee Hoon)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 제11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0.05
- 21 - 28 (8 pages)
본 연구는 복지관 노인들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7년 서울경기 지역 복지관 노인들 30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으로 300명의 표본을 모두 수집하였으며, 그중 50부를 제외한 250부가 최종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모든 설문 문항에 대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프로그램과 AMOS 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관 노인들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복지관 노인들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in welfare centers. The study subjects collected all 300 samples iusing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of 300 elderly people in the welfare center in Gyeonggi, Seoul, 2017. Among them, 250 parts except 50 parts were finally used. Self-administration method was used for all questionnaire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program and AMOS.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route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self-efficacy of the elderly in the welfare center did not affect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social self-efficacy of the elderly in the welfare center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