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도적 성격, 상사 지원, 동료의 사회적 태만,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Leader Support, Coworker Social Loaf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Investigating the Contrasting Hypotheses based on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and Trait-activation Theory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인적자원관리연구
- 제27권 제2호
- : KCI등재
- 2020.06
- 1 - 21 (21 pages)
주도적 성격과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들은 일치된 결과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경계조건인 상사와 동료 관계 역시 어떠한 이론적 기반을 통해 가설화하느냐에 따라 상이한 예측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향상동기, 특성활성화이론, 자원보존이론을 기반으로 주도적 성격이 조직시민행동의 참여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는 하였다. 더 나아가 자원보존이론과 특성활성화이론을 각각 활용하여 상사 지원 수준과 동료의 사회적 태만 정도가 주도적 성격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대립가설로 설정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주도성 자체와 자기향상동기 관련 논의를 바탕으로 주도적 성격을 가진 구성원일수록 조직시민행동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그리고 특성활성화이론과 자원보존이론을 기반으로 상사 지원과 동료의 사회적 태만 정도가 갖는 상반된 조절효과에 대해 제시하고 대립가설을 수립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군의 조직에서 근무하는 167명의 상사-조직구성원 설문이 사용되었고, 분석 결과 예측과 같이 주도적 성격은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가지 이론들 중 특성활성화이론에 기반한 예측과 같이, 상사 지원이 낮을 때나 동료의 사회적 태만이 높은 경우 주도적 성격을 가진 사람일수록 주도성이 발현되어 오히려 조직시민행동에 보다 활발히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적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와 채용 및 선발 관점에서 본 연구가 가진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Previous studies on proactivit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showed inconsistent findings and supervisors and coworkers’ relationship as boundary conditions can be different expectations in the proactivity and OCB relationship. Therefore, drawing on self-enhancement motive,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COR), and Trait-activation Theory(TA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proactive personality influences OCB. In addition, based on contrasting theories such as COR and TA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level of leader support and coworker social loafing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OCB. This study predicts proactive personality will positively affect OCB. Moreover, based on COR and TAT, this study provides contrasting hypotheses regarding the moderating roles of leader support and coworker social loafing.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proactivity increased OCB and this positive relationship became stronger when the leader support is low or coworker social loafing is high. The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along with manageri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application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및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