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카라마조프의 대심문관 또는 사목권력적 대표론
Ivan Karamazov of the Grand Inquisitor or Pastoral Power of Represent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9권 2호
- : KCI등재
- 2020.06
- 59 - 82 (24 pages)
이 글은 먼저 1930년대 제국 일본과 식민지의 비평계에서 도스토옙스키 및 셰스토프가 다뤄진 문맥 속에서 불안과 그 불안을 초극하는 방법으로서의 가톨리시즘에 대해 언급한다. 이어, 불안에 맞서는 확고한 확실성으로서의 가톨리시즘적 신의 매개력/사목력을 구체적으로 표상하는 하나의 양태로서 도스토옙스키의 「대심문관」를 분석한다. 신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의 관계를 응축하고 있는 그 ‘대심문관’의 형상에 대한 그런 분석은 다음 두 가지 질문에 대한 응답의 방식을 취한다. 대심문관의 사목적 매개력은 무엇을 ‘대표’하는가? 그 대표의 힘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 두 물음은 대심문관이 그리스도를 대상으로 집행하는 법적 기소의 성분과 그 기소를 분석하고 있는 정치신학자 칼 슈미트의 가톨리시즘적 정치변형론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논구될 것이다.
This article first mentions anxiety and Catholicism as a way to overcome that anxiety in the context of Dostoevsky and Shestov in the critique of Imperial Japan and colonies in the 1930s. Subsequently, Dostoevsky’s “The Grand Inquisitor” is analyzed as one aspect of concretely representing the mediating/pastoral power of the Catholicism as a aspect certainty against anxiety. What does The Grand Inquisitor’s pastoral mediating power “represen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representative s power? These two questions will be argued in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Catholic theologian Carl Schmitt’s theory of catholicism.
I. 서 론
II. 본 론
III.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