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을 소재로 한 한국 현대시의 양상과 의의 2
Aspects and Significance of Korean Modern Poems - Focusing on Poems with Emphasis on Uses of Photo Images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9권 2호
- : KCI등재
- 2020.06
- 5 - 35 (31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사진을 소재로 한 한국 현대시의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한국 현대시가 사진 매체와의 통섭적 사유를 통해 모색한 시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를 확인하고 그 의의를 규명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진을 소재로 한 한국 현대시가 사진의 촬영 행위나 사용 행위가 일어나는 장소, 제도, 문화적 상황을 통해 모색한 시적 의미를 사진 이미지의 용도에 주목한 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는 증명사진, 감시와 처벌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초상사진, 정치가의 초상사진, 졸업사진에 주목한 ‘공적 사진의 권력과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시’와 일상적 대중문화와 관련하여 가족사진, 결혼사진, 영정사진, 사진관에 진열된 사진에 주목한 ‘사적 사진의 관습적 맥락과 문화적 효용 가치를 이해한 시’로 나누어 이들 현대시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제2장 ‘공적 사진의 권력과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시’와 관련하여 존 탁, 데릭 프라이스, 발터 벤야민, 존 버거의 사진사회학적 이론을 원용하였다. 제3장 ‘사적 사진의 관습적 맥락과 문화적 효용 가치를 이해한 시’와 관련해서는 패트리샤 홀랜드의 문화연구 이론을 방법론으로 원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2장 ‘공적 사진의 권력과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시’에서 근대 국가에서의 ‘공적 사진’이 어떠한 방식으로 ‘타자’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고 사회적 차이를 육화하며 그들을 훈육했는지, 어떠한 정치적 의도를 기획하고 어떻게 그것을 은폐했는지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이들 현대시가 어떻게 그러한 ‘공적 사진’의 의미 생산의 원리를 파악하여 그에 저항했는지도 확인하였다. 또한 제3장 ‘사적 사진의 관습적 맥락과 문화적 효용 가치를 이해한 시’에서는 일상적 대중문화와 관련된 ‘사적 사진’이 어떠한 관습적 맥락에서 어떻게 개인·가족·공동체와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이들 현대시가 어떻게 그러한 ‘사적 사진’의 의미 생산의 원리를 파악하여 그 문화적 효용 가치를 이해하고 있는지도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이들 한국 현대시가 정치사회적 기획을 숨기고 사회적 차이를 육화해 온 데 연루된 ‘공적 사진’이나 우리의 일상 생활문화에 침투하여 문화적 효용 가치를 발휘하는 ‘사적 사진’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한국 현대시의 시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를 더욱 심화시키고 한국 현대시문학의 지평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photography- themed Korean poems in order to identify the meaning and cultural value as a merging different mediums in modern Korean Poetry. This paper focuses on analysis of the poetic emphasis of photographic images that photography- themed Korean modern poems seek for; the places, institution and the cultural circumstances where performance of photographing and using the images occur. This research analyses these modern poems in two perspectives, 1) poems resisting the power and ideology of public photography, which focuses on identification pictures, portraits used as a tool for surveillance and punishment, portraits of politicians and graduation pictures; 2) poems decoding conventional context and cultural utility value of private photography focuses on studio display photos depicting everyday life through examples like family pictures, wedding pictures, funeral photos. In the process of concerning poems resisting the power and ideology of public photography in chapter two, the research adopted photosociologic theories of John Tagg, Derrick Price, Walter Benjamin and John Berger. For the analysis in chapter three poems decoding conventional context and cultural utility value of private photography it adopted methodology of cultural studies of Patricia Holland. In chapter two, poems resisting the power and ideology of public photography , it identifies how a government creates and provides knowledge about the others , its use of public photography as a tool of embodying and discipline social discrimination, and how they are organized and concealed under what sort of political agenda, Furthermore, it also identifies how these modern poems decode the mechanics of meaning production of those public photography and resist to it. In chapter three, poems decoding conventional context and cultural utility value of private photography , it identifies how private photography concerning everyday popular culture relate with an individual, a family, and a community in what conventional context. It also identifies how these modern poems decode the mechanics of meaning production of those private photography and comprehend the cultural value of its utility. Thus this research finds the significance of Korean modern poetry in that it intensifies poetic meaning and cultural value of modern Korean society and expand the horizon of Korean modern poetry, in the process of comprehending and accepting public photography in relation of being a tool of concealing political and social power that embodied social discrimination and private photography that reflected our everyday lives and culture and show its cultural value.
I. 서 론
II. 공적 사진의 권력과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시
III. ‘사적 사진’의 관습적 맥락과 문화적 효용 가치를 이해한 시
Ⅳ.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