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재활 사례관리 활성화 요인에 대한 사례관리자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Case Managers on the Factors of Activating Case Management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 이창희(Lee, Chang-Hee)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재활복지
- 재활복지 제24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6
- 85 - 110 (26 pages)
이 연구는 장애인 직업재활 현장에서 사례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데 필요한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서 직업재활 현장 사례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대부분의사례관리자들은 직업재활 서비스의 핵심적인 역할이 사례관리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사례관리자들이인식하는 직업재활 사례관리 활성화의 핵심적 요인으로 첫째, 직업재활 실천 현장에서 사례관리가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차원에서 사례관리를 위한 협력 체계를 마련하여 기관 간의 연계와 자원 공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둘째, 직업재활 사례관리모델에 관한 경험적인 연구와 그 결과의 전파를 통해 직업재활 실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사례관리 모델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효과적인 사례관리 실천을 위해서는 사례관리자 1인당이용자 관리의 비중을 조정하여 이용자의 욕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조직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직업재활 실천 현장 사례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사례관리 교육을 시행할 때 현장 사례관리자들이 필요로 하는 전문 지식과 실천 방법에 대한 교육 과정을 개설하여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case managers to analyze the factors necessary for effective case management at vocational rehabilitation sites for the disabled.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most case managers recognized the need for case management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system, and that the key role of rehabilitation services was case management. Second, in order for case management to be carried out effectively at the sit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e,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for case management at the community level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case management so that cooperation and resource sharing among agencies can be achieved. Third, through empirical research o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model and the dissemination of its results, efforts were needed to support the use of the case management model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ite. Fourth, effective case management practices need to further reduce the proportion of case management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direct and indirect practices can be carried out smoothly to respond to users needs. Fifth, in implementing case management training for occup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e field case managers,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around the specialized knowledge required by field case managers and the training courses on how to practice.
Ⅰ. 서 론
Ⅱ. 직업재활 사례관리의 특성
Ⅲ. 연구방법
Ⅳ. 조사결과
Ⅴ. 함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