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477.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고전소설의 여성주의적 연구에 대한 반성적 검토

A Reflective Review of Feminist Studies of Korean Classical Novels

DOI : 10.17090/kcwls.2020..40.49
  • 384

본고는 지난 10년(2010~2019) 동안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에 실린 고전소설 연구 논문 48편을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국문장편소설과 여성영웅소설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 인물론이 주를 이루었다는 점, 기존의 연구방법론 및 남성 중심적 독해가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는 점이 주된 경향임을 확인하였다. 여성주의적인 시각에서 작품을 정밀하게 해석하였고, 여성의 문제를 사회 및 이데올로기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려 하였으며, 남성중심적 시선에 대한 비판적 거리 두기를 통해 새롭게 작품을 읽어내려 했다는 것이 큰 성과이다. 고전문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연구는 기존 연구방법으로는 포착할 수 없었던 의미를 읽어낼 수 있게 한다는 점, 그리고 여성운동의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현재 ‘여성’의 문제를 과거의 ‘고전’ 속에서 찾아보아야 하는 이유가 보다 설득력 있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looks at 48 papers on classical novels that have been published during the past 10 years (2010~2019) in the journal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aper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jority of the studies focused on Korean full-length and heroine novels, consisted primarily of character studies, and made attempt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ale-centric readings of the works. In that they meticulously interpreted the work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ttempted an understanding of women’s issues within their links with society and ideology, and sought new interpretations of works through critical distancing away from male-centric views, these studies have realized substantial achievements. Feminist studies of classical literature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allow for the reading of meaning that had gone unnoticed by previous research methods, and in that they contribute to fulfilling the goals of the feminist movement. In view of this, there is a need to persuasively present a reason for why ‘classics’ of the past should serve as a reference for ‘women’s’ issues of the present.

1. 머리말

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에 실린 고전소설 논문의 내용

3. 한국 고전소설의 여성주의적 연구에 대한 반성적 검토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