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고등학교 체육수업에서 성찰일지 활용을 통한 체육전인교육의 함의

Implications for Whole Person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in High School Using Reflection Journals

  • 321
152489.jpg

글쓰기 활동은 본인의 생각과 경험, 느낌 등을 언어로 표현하는 지적 활동으로 교육적 효과는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글쓰기 활동이 체육 교과의 직접 체험 활동인 신체활동을 어떻게 내면화하고, 학습 활동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전인교육 측면에서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심동적 영역에 편중된 체육 수업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교수 활동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도 H시 소재의 C고등학교 1학년 8학급 총 246명 학생 중 2019학년도 2학기(2019년 8월~11월) 동안 체육 수업 경험을 사실적이며 성실하게 작성한 9명의 성찰일지 자료를 의도적 표본추출 하여 최종 연구 자료로 선정하였다.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움직임 들여다보기’, ‘움직임 발견하기’, ‘감성 자극하기’의 경험이 도출되었고, 종합하여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움직임 들여다보기’ 경험은 본인 그리고 타인의 움직임을 되돌아보며 분석하는 과정이고, ‘움직임 발견하기’ 경험은 자신만의 신체활동 지식의 구성 및 창출의 과정으로 고차원의 인지 경험이며, ‘감성 자극하기’ 경험은 신체활동을 통한 인간적 품성, 태도, 사회성 함양 등의 과정으로 나타났다.

Writing is intellectual activities where one expresses one s thoughts, experiences, and feelings, and it is evaluated as having positive effects on education.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educational meanings of writing regarding how it internalizes physical activities, direct experience activities of physical education subject, and how it helps learning activities in respect of whole person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lso aims to provide practical teaching activity experiences in order to prevent from psychomotor domain-focused physical education class teachings.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aims, this research used reflection journals written by 246 students in total of eight classes of the first grade students whom the researcher has taught in High School C located in city H, province K, for the second semester of school year 2019 (from August to November, 2019) as research sources. Among those journals, the 9 reflection journals were chosen which were written faithfully and realistically by 9 students as research sources. The analysis of research sources extracted the experiences of observing movement , discovering movement , and stimulating sensitivity , and explored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m. The experience of observing movement is the process in which one reflects one s own movement and others movements; the experience of discovering movement is high-dimensional cognitive experience and the process of composing and creating one s unique physical activity knowledge based on individual reflection time; the experience of stimulating sensitivity is the process where one cultivates personal character, attitudes, and sociality through physical activitie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