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교육기부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onation for Education Program on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model schools for donation for education

  • 389
152489.jpg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기부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사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를 통해 경상권역에서 교육기부 모델학교로 선정된 중학교를 실험집단으로, 교육기부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중학교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진로개발역량지표 도구를 사용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2018년 5월부터 12월까지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사회 영역에서 실험집단의 개인·사회영역의 ‘자아개념’, ‘자기 주도성’, ‘사회성’, ‘시민의식’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진로 영역에서 실험집단의 ‘진로탐색’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부가 영역에서 실험집단의 ‘일상·학교생활 만족’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 영역 중 ‘진로인식’, ‘진로계획’과 학업 영역인 ‘학업 성취’, ‘학업 설계’, ‘학습 태도’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교육기부 프로그램이 참여한 중학생의 ‘자아개념’, ‘자기주도성’, ‘사회성’, ‘시민의식’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고, ‘진로탐색’에 영향을 미쳤으며, ‘일상·학교생활’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기부 프로그램 확대와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donation for education program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e middle school selected as the model school for donation for education in the Gyeong-sang region through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set up as a experimental group and the middle school that did not conduct the donation for education programs as a comparative group,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onducted pre-post test using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ndex(CDCI).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to December 201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concept , self-reliance , sociality and citizenship area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personal and social area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s. Second, the career explor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career area increased statistically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ird, it was found that the daily/school life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Fourth,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found in the areas of career recognition, career planning,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design, and study attitude. Based on this, the government made suggestions to expand donation for education programs and enhance quality level to enhance the career cap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