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얼리 광고이미지의 주의집중 특성과 관심영역 분석
Analysis of attention characteristics and areas of interest in jewelry advertising images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한국디자인리서치
- Vol5, No. 2(통권 15권)
- 2020.06
- 190 - 201 (12 pages)
본 연구는 피험자가 주얼리 광고이미지를 주시할 때 나타나는 생체신호 중 주시횟수와 동공크기의 변화에 대한 시선추적 실험을 실시하여, 시각적 이해 과정에 나타나는 흥미와 관심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존에 주관적 관점에서 평가가 이루어졌던 광고효과에 대한 분석이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이 가능해졌다. 이와 같은 시선추적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여러 개의 이미지가 혼재한 상황인 경우, 관심영역별 주시특성 분석을 통해 오랫동안 주시한 영역을 흥미와 관심을 가진 영역으로 간주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를 찾았다. 둘째, 주시횟수와 동공크기를 연계 분석함으로써 이미지별 「높은 Fixation=우세 주시, 높은 Fixation≠우세 동공, 우세 주시≒우세 동공」등의 공식을 전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특정 이미지를 오랫동안 주시 Fixation한 피험자는 특정 관심영역을 오랫동안 주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러한 흥미와 관심을 갖는 경우에 피험자의 동공이 확대되는 경우가 많다는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셋째, 관심영역별 분석에서 AOI 2는 주시 횟수에 비해 동공크기의 우세빈도가 높고, AOI 3은 시각적 이해 우세빈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동공크기의 우세빈도는 가장 낮았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광고이미지에 대한 시각적 이해과정과 흥미·관심을 가질 때 발생하는 생체신호에 대한 교차분석이 가능했다. 또한 이러한 분석방법으로 주얼리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시지각 특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품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conducted eye-tracking experiments on jewelry advertising images, and analyzed the interest and interest in visual understanding process on the number of gazes and pupil sizes among biosignals on a specific image for each subject. Through these studies, analysis of the advertising effect, which was previously evaluated from a subjective point of view, has become more objective and scientific approac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rough the eye tracking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multiple images, the scientific basis was found that a relatively long-term gaze can be regarded as a region of interest and attention through analysis of gaze characteristics for each region of interest. Second, it was possible to develop formulas such as high fixation = superior fixation , high fixation ≠ high dominant pupil and predominant fixation ≒ dominant pupil for each image by linking and analyzing the number of times and pupil size. Subjects who fixate a specific image for a long time tend to look at a specific region of interest for a long time, and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the pupils of the subject are often enlarged in the case of such interest and attention. Third, in the analysis by region of interest, AOI 2 had the highest predominance of pupil size compared to the number of observations, and AOI 3 had the lowest predominance of pupil size despite the high visual understanding predominance. Through this analysis process, it was possible to conduct cross-analysis of the bio-signals that occur when the user has interest and attention in visual understanding of the advertising image. In addition, this analysis method can analyze the consumer s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for jewelry advertisements, an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find a method for effectively delivering the product characteristics.
1. 서론
2. 광고 이미지 선정 및 시선추적 실험
3. 주시횟수와 동공 데이터의 분석
4. 우세 주시와 동공크기에 근거한 주의집중 특성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