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513.jpg
KCI등재 학술저널

湖西地方出土鐵鋌流通樣相의 變化와 製鐵技術의 擴大

Change of Distribution Trend and Expansion of Ironing Technology Seen through the Distribution Formation of the Iron Ingots in the Hoseo Region

  • 34

철정은 삼한지역의 중요한 교역품으로 3세기 삼한의 상황을 묘사한『三國志』魏志東夷傳에서도 기록되어 있다. 변진한이 중심이고 이것을 마한, 왜, 낙랑, 대방에서 사서 간다고 할 정도 많은 양이 생산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를 대변하듯 금관가야인 김해지역에서 출토량이 월등하고 부장의 양상에서도 압도적이다. 주요 소비처로 생각되는 마한, 그 중 호서지방 내에서 최근 출토량이 증가하고 있어 이들 지역과의 철정 유통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마한 중 호서지방에서 철정이 출토된 유적을 중심으로 각 지역 내 분포정형을 통해 철정 유통의 변화를 살펴본다. 이를 통한 호서지방 내 마한의 제철기술 발달의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호서지방 출토되는 철정의 형식을 분묘 중심으로 분류하고 4단계를 설정하여 단계별 그 분포정형을 통해 철정유통의 유통양상을 검토하였다. 먼저, 철정의 유통양상 1단계는 호서지방 내 1단계 봉상형 철정은 미호천유역 호서내륙의 최고위계 묘역에서 확인된다. 2세기 전반 호서내륙으로 확인되는 봉상형 철정은 변진한과의 교역에 의한 것으로 이들과의 교역로로는 영남의 내륙과 호서내륙을 이어주는 낙동강 상류와 연결되는 육로 교역이 중심이였음을 마한과 변진한 지역 각각에서 공반되는 유물상과 부장의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마한의 출현기 철정이 변진한과의 교역을 통해 유입되었음을 분명히 하였다. 이후, 2단계 3세기 중반 이후로는 호서해안을 중심으로 확인되는 판상철정은 수장층을 중심으로 금관가야와 교역한다. 철정이 유통되는 교역로는 서남부해안의 존재하였던 포상팔국들이 가라(加羅)을 공격하는 전쟁을 진압하면서 서남해안의 해로를 확보한 후 남해안-서해안 연근해 해상의 교역로를 확보하였다. 내륙의 교통로는 금관가야가 아라가야와 긴밀히 협력하여 육십령과 팔령치를 통해 호서지역이 교역하였음을 교역물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남강 내륙로는 백제와 가야의 교역로로 그대로 이어졌다. 3단계 4세기 중엽 이후 철정이 규격화되는 단계에서는 지역 내 중상위계층으로 부장되는 유구가 증가하며 철정과 함께 단야도구의 부장도 증가한다. 지역 내 중심 제철 제작지인 충주, 청주, 진천, 완주, 오산지역이 출현하며 기술의 발전을 가져와 생활유적으로도 확대된다. 4단계 5세기 중엽 이후에는 백제의 영역화되는 과정에서 일부 마한 유력세력이 있는 서천지역과 전북 내륙의 금산지역에 철정이 부장되었다.

Inland route was continued as the trade route for Baekje and Gaya. In the phase to have the iron ingots to be standardized after the mid-fourth century for phase three, the burial goods as the mid to upper class in the region increases to have the burial of the smith s tools also increased together with the iron ingots. After the mid-fifth century for phase four, the transport route of the southwestern coastline is mainly used and the inland of Hoseo is transferred to the segmentation process of Baekje to bring the advancement of the ironing technology for expanding into the living relics.

Ⅰ. 서론

Ⅱ. 철정 형식분류와 출토양상

Ⅲ. 단계 설정과 단계별 분포의미

Ⅳ. 철정 분포정형으로 본 유통의 변화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