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신흥국 산업인력 수요전망 방법론 연구: 직업교육 ODA 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중심으로

  • 98
커버이미지 없음

개도국의 산업수요에 부응하여 산업기술인력의 양성을 지원하는 직업교육훈련(TVET) 사업은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ODA)의 주력 분야 중 하나로 동남아, 중앙아시아,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등 거의 모든 지역을 망라하고 있으며 점차 증가하는 개도국의 협력수요를 감안할 때 앞으로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한국이 실시해온 직업교육훈련 ODA 사업의 추진 과정을 관찰해 보면 인력수요 전망에 대한 분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직업교육훈련 사업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직업훈련센터 건설이나 교육기자재 제공 등 하드웨어 지원과 커리큘럼 등 교육 과정 계획 수립에 앞서 인력수요 전망에 대한 체계적인 방법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예측력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그동안 한국이 실시해 온 인력수요 조사 방법으로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개도국의 산업인력 수요 전망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론을 다루고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직업교육훈련 ODA 사업의 효과성을 제고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개도국 노동시장의 제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산업인력 수요 전망에 관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대표적인 신흥국가인 베트남에 시범 적용하여 산업 및 업종별 산업인력 수요 전망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나아가 최근 신흥국 노동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환경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산업인력 수요조사 방법론을 모색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이 그동안 개도국에서 수행한 직업교육훈련 ODA 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대상으로 수요의 관점, 즉 산업인력 수요조사 실시 여부, 조사 범위, 조사 방법의 적절성 등에 대해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사업들의 사업제안서, 타당성조사 보고서, 평가보고서 등의 자료를 입수하여 직업교육훈련 사업 추진 과정에서 교육수요 조사 부분이 사전적으로 어느 정도로 중요하게 다루어졌는지를 평가하였다. 제3장에서는 신흥국의 산업인력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론 개발에 앞서 다른 선진국 및 신흥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요 노동시장 전망모형을 소개하고 그 특징을 비교하였다. 과거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효율적인 인적자원의 배치가 국가적 과제로 등장하였고, 이에 따라 산업인력 수요 전망 연구가 시작되었다. 기본적으로 노동수요는 경제의 총수요 확대에 따라 발생하는 파생수요이기 때문에 정확한 거시경제 전망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인구, 거시, 산업, 노동 등의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각 부문별 연관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일반균형모형에 기반한 계량경제학적 방법론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모형의 규모가 커지다 보니 국가별로 추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경제 전체를 적절히 거시경제, 대외경제, 노동시장 등의 블록으로 나누고, 블록 내의 동태적 추정에 집중하기도 한다. 또한 기술발전, 국제교역환경의 변화로 인한 신산업의 등장과 기존 산업의 쇠퇴 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정성적 방법을 보완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력수급 전망 전담기관인 고용정보원을 설립하고 2006년부터 국가 인력수급 전망 추진체계에 따라 인구·사회·경제·산업구조의 변화를 반영한 인력수급 전망을 실시하고 있다. 전체 전망모형은 크게 총량 인력수급 전망 부문과 신규 인력에 대한 수급 전망 부문으로 나뉜다. 총량 부문은 경제활동인구의 구성과 추이, 산업별 성장 전망치를 기초로 노동인력의 저량(stock)을 추정하는 부문이며, 신규 인력에 대한 수급 전망 부문은 신규 인력의 공급과 수요가 학력, 전공, 기술 수준 등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일정 기간 동안의 유량(flow)으로 파악한다. 인력공급 전망은 인구주택총조사를 활용한 인구 추계, 경제활동인구조사를 활용한 경제활동참가율 추계를 활용하여 경제활동인구에 대한 전망치를 추정한다. 인력수요 전망은 국민소득계정자료를 바탕으로 산업·거시계량모형을 활용하여 산업별 실질부가가치에 대한 전망치를 추정하고 산업별 노동 및 생산에 대한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얻은 취업추계를 곱하여 산업별 노동수요를 전망한다. 이에 산업-직업 간 노동수요행렬의 추정치를 반영하여 산업 및 직업별 노동수요를 추정한다. 최종적으로 총공급과 총수요가 자연실업률 수준에서 일치하도록 재귀적 구조를 구성하여 인력수급전망을 도출한다.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력수급전망 방법론은 우리나라의 사례와 비슷하다. 미국 노동통계국의 모형은 산업이나 직업 측면에서 세분화된 자료를 활용하는 특징이 있고, 네덜란드의 ROA 모형은 하부 노동시장에서 교육의 분야나 수준별 직업 전망을 세분화하여 예측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은 통계 정보나 전망 수행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VET) programs are a critical area within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mandate of Korea. Korea is implementing TVET projects in a wide range of regions, including Southeast Asia, Central Asia,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the Middle East, and Africa. Considering the increasing demand for TVET from developing countries, Korea is expected to continue and expand its TVET projects. Korea has not been conducting systematic labor market forecast in the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VET projects. Developing systematic labor forecast methods and increasing predictability of labor demand should precede actual hardware supports,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job training centers and distribution of training materials as well as curriculum develop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VET projects. However, the labor demand forecasts conducted by Korea up to now largely fall short of these expectations. This study aims to develop systematical labor forecast methods, thereby contributing to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VET ODA. Towards this, the study suggests a labor forecast method that considers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countries, and applies the method to Vietnam as a pilot ap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estimates Vietnam’s future labor demand by industry and by occup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ntroduces alternative labor market projection methods that can possibly deal with new changes observed in the labor markets of emerging countries. Chapter 2 reviews Korean TVET ODA projects and evaluates the demand side of the projects, for instance whether any labor market forecasts had been conducted for these projects or not, and the scope and method of labor market forecast. We examine project proposals, project validity studies, and evaluation studies for evaluating how much the demand side was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VET projects. In Chapter 3, as a precursor to developing an alternative labor projection method, we introduce labor forecast models used in developing and advanced countries and compare their characteristics. Labor forecast studies started as the issue of effective human resource allocation emerged as a national task for many countries after World War Ⅱ. Accurate macroeconomic projection is critical for labor forecast, because labor demand is basically derived demand generated as the aggregate demand of economic increases. Recently, econometric methods based on the general equilibrium model are largely used in order to include inter-related effects of sectors, by using population, macroeconomic, industrial, and labor time series data. As the model becomes larger, several countries divide the economy into several blocks (e.g. macroeconomy, international economy, labor market, etc.) and focus on the dynamic estimation in each block. Furthermore, qualitative methods are used to take account for the impact of emergence of new industries and decline of existing industries due to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al change. In Korea,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as established to perform projections of labor demand and supply starting from 2006. This labor forecast reflects changes in population, society, economy, and industry structure. The projection model is largely composed of a section dealing with aggregate labor supply and demand forecast, and a forecast of new labor force. The section on aggregate labor supply and demand forecast estimates the stock of labor supply and demand based on the composition and trends in the labor force, and industrial growth prospects. The section on new labor force forecast estimates the flow of labor supply and demand and the supply-demand gap for a certain time period and looks at how new labor supply and demand change by education, major, and technology. The labor supply forecast estimates the labor force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및 구성·범위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제2장 한국의 직업교육 ODA 현황 및 인력수요 조사방법

1. 한국의 직업교육 ODA 현황

2. 한국 직업교육 ODA 사업의 인력수요 조사방법

3. 소결: 인력수요 조사방법 개선의 필요성

제3장 신흥국 산업인력 수요전망 방법론: 전통적 방법

1. 정량분석

2. 정성분석

3. 분석방법의 결합

제4장 신흥국 산업인력 수요전망 방법론의 시범적용: 베트남

1. 베트남 적용 이유 및 의의

2. 계량분석 결과

3. 기업체 설문조사 결과

4. 이해관계자 면담조사 결과

5. 정량분석과 정성분석의 결합: 무선통신장비 제조업의 중기 인력수요 전망

제5장 신흥국 산업인력 수요전망의 새로운 접근방법 모색

1. 새로운 분석방법론 모색의 필요성

2. 국제 분업체계에 따른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 접근

3. 디지털 데이터 접근에 따른 빅 데이터 분석

제6장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