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594.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중음악 음반심의번호 고찰

Study on Pre-Screening Number of Popular Music

DOI : 10.36775/kjpm.2020.25.45
  • 84

1996년 대중음악 사전심의제가 폐지 이후 대중음악 심의는 ‘건전성 추구’에서 ‘청소년보호’로 관점이 전환되었다. 1966년 발족한 예술윤리위원회, 1976년 설립된 공연윤리위원회는 대중음악 사전심의 기능을 담당했다. 발급된 심의번호는 음반에 명시되었다. 음반에 표기된 음반심의번호와 녹음번호가 혼란을 일으킨 경우도 있다. 본 연구는 음반심의원본에 나타난 심의번호가 실제 음반에서 표기된 사례를 살피고 그 변화 과정을 고찰하고 있다. 시기별로 사전심의번호 양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68년 이전에는 심의번호가 없다. 둘째, 1968년 ‘심의 제OO호’가 사용된 이후 1969년부터 4자리 숫자가 사용되었고 음반사는 개별적으로 회사를 나타내는 영문을 이들 숫자 4자리 앞에 붙여 사용했다. 셋째, 1976년 공윤의 설립으로 사전심의제가 강화되면서 연월에 4자리가 덧붙여지는 8자리 번호체계가 확립되었고 1996년 사전심의제가 폐지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1976년에는 연월 이후 뒷4자리 앞에 B를 표기하는 방식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넷째, 사전심의를 받은 과거의 음원을 재사용할 때는 발매 연도와 관계없이 과거의 심의번호를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Since the popular music pre-screening system was abolished in 1996, the popular music pre-screening shifted from “pursuing ethics” to “youth protection”. The issued deliberation number was specified on the record. Because of the obscure arrangement of the record number, the record deliberation number was regarded as record number. This study examines the cases in which the deliberation number indicated in the original record deliberation is marked on the actual record and considers the process of its change. The aspects of the pre-screening number by period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deliberation number before 1968. Second, since the ‘Deliberation No.OO’ was used in 1968, four digits have been used since 1969. Third, since 1976, the pre-deliberation system was strengthened, and an 8-digit number system with four digits added to each month was used until the 1996 pre-deliberation system was abolished Fourth, when reusing the sound sources in the past that were pre-deliberated, the past deliberation number was used identically regardless of the year of release.

1. 들어가는 말

2. 규제기구의 설립과 사전심의 방식

3. 사전심의번호의 변화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