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코올 사용환자의 분노반추와 재발위험성간의 관계에서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Coping Style on the Association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Relapse Risk in Alcoholics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6 No.5
- : KCI등재
- 2020.05
- 35 - 43 (9 pages)
본 연구는 광역시에 위치한 알코올전문병원에 입원하여 치료중인 알코올 사용 환자의 분노반추와 분노억제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이 알코올 재발경고증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알코올사용 환자들을 재발에 이르게 하는 분노의 특성을 이해하고, 알코올중독 치료현장에서 맞춤형 치료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11월부터 12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t-검증, 변량분석,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해서는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알코올 사용 환자의 분노반추, 분노억제, 재발경고증상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알코올사용 환자의 분노반추와 재발경고증상과의 관계를 분노억제가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알코올사용 환자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anger rumination and anger-coping style affect the warning symptoms of alcohol relapse in alcoholic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nger and develop customized treatment plans for alcoholis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of 110 alcoholics patients that were treated in the alcohol hospital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in Korea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9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bootstrapping was also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nger rumination, anger coping style, and the warning symptoms of alcohol relapse. An anger-coping styl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the risk of alcohol relapse.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further research to prevent the risk of alcohol relapse.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