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의 적합성 실증분석을 통한 가정용 소화기의 디자인 개선방안
Methods to Improve the Design of Household Fire Extinguisher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Consumer Compatibility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Vol.34 No.3
- : KCI등재
- 2020.06
- 58 - 66 (9 pages)
주택의 경우에는 소방법에서 제외 대상으로 되어 있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초기 소화에 골든타임을 놓쳐 대부분인명사고로 이어지고 있다. 이처럼 주택에서 화재와 사망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소방법을 개정하여 정부에서는2017년부터 단독 주택에도 소화기를 의무적으로 비치하도록 하였다. 소방청 2018년 주택용 기초 소방시설 설치 실태조사 자료에 의하면 전체 비치율이 34.8%에 불과하다. 소화기는 화재 시에는 꼭 필요한 기구이지만 가정집에서는기피 대상으로 생각하고 있다. 투박하고 빨간 색상으로 되어 있어 집안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다. 이제 소화기도 평상시에는 장식품과 팬시용품처럼 집안에 비치해 두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심플하면서도 디자인이 다양한 소화기가 있어야 한다. 집안 어디에 두어도 장식물처럼 어울릴 수 있는 제품이라면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 이제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심플한 소화기가 개발되도록 관련업체의 디자인 개발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져 상품화를 기대한다.
Households are categorized as exceptions in the Fire Services Act; oftentimes, the ‘Golden Time’ is missed at the earlystages of a fire, resulting in loss of life. As such, due to the high number of deaths caused by household fires, the Koreangovernment amended the Fire Services Act to make it mandatory for all detached houses to be equipped with a fireextinguisher from 2017 onwards. Only 34.8% of households were properly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the 2018 factual survey on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in households conducted by the Fire Department. Fire extinguishersare crucial in case of fire but many households avoid them because they are red and have a rough aesthetic, which doesnot suit the household environment. There is now a need for diverse simple fire extinguisher designs so that they can beused as interior décor in the household in the day-to-day while being available for putting out a fire when necessary. Iffire extinguishers have designs that go well with any household space like other decorative ornaments, this will greatlyincrease consumers’ motivation to purchase them. It is greatly anticipated that various companies will work on developingdesigns for fire extinguishers to commercialize them for households in the future.
1. 서 론
2. 본 론
3. 소비자 적합성 실증분석 소화기 제안
4. 결 론
후 기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