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어산>은 <영산재>와 함께 서울ㆍ경기지역을 대표하는 한국의 불교의식이다. 현재 서울시에서 지정된 불교의식 무형문화재는 <영산재>, <진관사수륙재>, <경제어산>, <불복장작법>, <생전예수재> 등이 있는데, 이중 소리로 지정받은 것은 <경제어산>이 유일하다. 그런 면에서 경제어산의 소리 전승은 매우 중요하다. 경제어산보존회에서는 한국 최초로 재가자와 스님이 불교의식을 이끌어가는 <경산수륙재>를 시도하여, 불교의례를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이끌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한국 불교의식 무형문화재 중에서는 유일하다. 또한 불교의례문화재로서는 유일하게 연구소를 운영하여 매년 의례집을 편찬하고 있고, 매년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특히 한국불교전통의례전승원의 운영을 통해 <경제어산>의 소리를 학인들에게 자연스럽게 전승하고 있는데, 5년 과정을 수료한 졸업생에게는 <경제어산> 전승자로 활동할 수 있는 자격까지 주어진다. 이런 점에서 경제어산의 소리교육 및 전승은 매우 긍정적이다.
<Gyeongje-Eosan> is a Korean Buddhist ritual that represents Seoul and Gyeonggi area with <Yeongsanjae>. Buddhist rituals designated by Seoul Metropolitan City Intangible Cultural Assets is <Yeongsanjae>, <Jingwansa-Suryukjae>, <Kyeongje-Eosan>, <Bulbokjang-Jakbeop>, <Bongensa-Saengjeonyesujae>, etc. Among them, the only thing designated as sound is <Kyeongje-Eosan>. In that sense, the transmission of the sound of <Kyeongje-Eosan> is very important. In the Kyeongje-Eosan Preservation Societ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Buddhist believers and monks try to lead the Buddhist ritual, and lead the Buddhist rituals to be easily understood and participated. This attempt is the only one among Korean Buddhist ritu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addition, it is the only Buddhist ritual cultural asset that operates the institute and compiles the annual ritual book and holds seminars every year. Especially, the sound of <Gyeongje-Eosan> is transmitted naturally to the monks through the Korea Buddhist Traditional Ceremony Academy(韓國佛敎傳統儀禮傳乘院) Graduates who have completed the course are entitled to serve as a successor to the <Gyeongje-Eosan>. in this respect, the present condition of transmission of sound is very positive.
Ⅰ. 머리말
Ⅱ. 조계종 어산(魚山) 교육의 분포와 현황
Ⅲ. <경제어산> 소리의 전승 양상과 특징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