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본 도시새뜰마을사업 주체 간 네트워크 특성 및 역할
The Role and Characteristics of Actors Involved in the Network of Urban Saetul-village Project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 김홍주(Kim, Hong Joo) 이영환(Lee, Young Hwan) 임정민(Lim, Jung Min) 백혜선(Paik, Hae Sun)
- 한국공간환경학회
- 공간과 사회
- 공간과 사회 7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6
- 254 - 279 (26 pages)
도시새뜰마을사업은 주거지원사업의 사각지대인 도심 취약지역을 집중적으로 재생하고자 시작된 정책사업이다. 본 연구는 도시새뜰마을사업의 실행과정에서 중요 행위자로참여하고 있는 총괄코디네이터, 마을활동가, 마을대표, 공무원의 네트워크 내의 각 주체별역할을 살펴보았다. 2015년 시작된 도시새뜰마을사업은 2019년 대부분 준공단계로, 전체 30개 지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행위자들의 네트워크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실제 도시새뜰마을사업의 진행과정에서 초기정책수립단계에서 의도했던 바와 같이 각 주체들이 역할을 수행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새뜰마을사업 초기 전 지역을 대상으로 주체별 역할을 네트워크 측면에서 규명한 데에 의의가 있다.
The Urban Saetul-Village Projects is a policy project started to intensively regenerate the vulnerable areas in the city center, a blind spot of the residential support project, and was implemented by separating the city from the rural area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governance structure of general coordinators, village activists, village representatives, and civil servants, who are participating as important ac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Urban Saetul-Village Projects. Urban Saetul-Village Projects, which started in 2015, is mostly completed in 2019, and a network of major actors was analyzed through a survey of all 30 selected areas. Through this, we analyzed whether the governance of communication for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worked as intended in the initial policy-making stage in the process of actual Urban Saetul-Village Projects, and how the effect and satisfaction of the project were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demonstrated the governance structure for all of the Urban Saetul-Village Projects and clarified the role of each actors.
1. 서론
2. 도시새뜰마을사업의 특성
3. 사업참여주체 간 네트워크 분석 자료구축
4. 사업참여주체 간 네트워크 분석 결과
5. 네트워크 관점에서 본 참여주체의 역할
6. 연구의 의의 및 한계
참고문헌